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국 속의 작은 중국' 인천 차이나타운(China Town)
    국내 나들이/관광지(觀光地)로 2014. 5. 28. 05:00

     '중국 속의 작은 중국' 인천 차이나타운(China Town)

     

    인천역에서 내려 자유공원 쪽을 바라보면 누구라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중국풍 거리가 시야에 들어온다.

    우뚝 솟은 패루(牌樓)를 지나 계속 경사진 길을 3백여 m를 걸으면

    T자형으로 길이 양쪽으로 나뉘고 주변 상가는 온통 중국의 거리에 온 듯이 느껴진다.

    붉은 색 간판과 홍등(紅燈)이 내걸리고, 음식점이나 진열된 상품들도 거의가 중국 일색이다.

    이렇게 화려하게 단장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지만

    이것들의 과거를 뒤집어 보면 누구보다도 눈물겨운 세월을 보내면서

    이곳에서 화교 사회의 명맥을 이어 오신 분들이 바로 그 지역에 사는 화교(華僑)들이다.

    인천의 차이나타운(中華街)은 다른 나라에 있는 차이나타운과는 근본적으로 형성 구조가 다르다고 한다.

    다른 나라의 경우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최초 노동자부터 근대 중국의 불안한 정국을 피해

    이주한 중산층까지 포함하여 중국인 거리가 형성된 것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근대화 과정에서

    가까운 거리의 이점을 살려 주로 상업을 위해 이곳에 안주를 한분들의 터전이기 때문이다.

    인천 화교는 약 130년 전인 1882년 임오군란(壬午軍亂) 당시 청나라(淸國)의 군인과 함께 온

    40여명의 군역상인(軍役商人)들이 이 땅에 정착하면서 그 역사는 시작되었다.

    이들은 주로 푸젠성, 저장성 등 남방인들로 청나라 군대에 물자를 공급하면서 조선 상인들과의 무역도 하였다.

    그 후 18844"인천화상조계장정(仁川華商租界章程)"이 체결되면서

    지금의 인천시 선린동 일대의 5천평 토지에 중국 조계지(租界地)가 세워졌고

    그해 10월 청국 영사관(淸國 領事館)도 이곳에 세워졌다.

    중국의 조계지가 생긴 후 중국의 건축 방식을 본뜬 건물이 많이 세워졌기에

    이곳이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차이나타운"의 최초 형태이다.

     

    그리고 이후 원세개가 조선 통상 사무를 맡아 1887년에는 부산,

    1889년에는 원산에 조계지역에 대한 담판을 성공시켜 중국 조계지역은 계속해서 확장되었다.

    인천에 조계 지역이 설립되면서 화교의 수는 급증하여 188348명이던 화교가

    1년 후에는 5배에 가까운 235명으로 늘어났고 1890년에는 화교가 약 1천명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국인들이 증가하면서 당시의 청나라 관청(淸國 領事館)이 이곳에 설립되고,

    이를 청관이라고 불렀는데, 일본인들은 이곳을 중국을 비하하는 명칭인 지나정이라고 불렀다.

     

    그 당시 화교의 대부분은 인천을 상업 활동의 중심으로 삼고 사업 수완을 발휘하여 중국에서 수입한

    식료 잡화를 팔고 다시 조선의 사금 등을 중국에 보내어 얼마 지나지 않아 시장의 전반적인 상권을 장악하였다.

    특히 인천 조계지 내의 화상들은 한국 전역에 퍼져 있는 화상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 사업은 날로 흥성하게 되었다.

    또한1898년 의화단(義和團)의 북청사변(北淸事變)으로 산동성(山東省) 일대가 전란(戰亂)에 휘말리자,

    이 일대 중국인들이 피난차 가까운 한국으로 대거 건너오기 시작하였는데,

    이들도 주로 인천을 자신들의 집결지로 삼았기 때문에 인천은 부지불식간에 화교들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서울과 함께 화교들의 양대 세력권이 되었다.

    당시의 자료에 의하면 188435척의 청조 선박이 인천과 마포항을 왕래하였으며 13천톤의 화물을 운반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조선은 청나라(淸國)의 속국(屬國)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청나라 사람들은 청나라 정부의 후원을 받으며

    그 당시 조선에서는 귀한 물품인 비단, 광목, 농수산품 및 경공업품을 수입하여 엄청난 이익을 획득하였다.

    이에 따라 장기 거주를 목적으로 인천에 상가 건물이나 주거할 집을 지을 필요가 생겨

    중국식 건축에 필요한 목수, 기와공, 미장공들도 한국으로 오게 된다.

    특히, 인천과 뱃길이 트인 산동성에서는 조선의 인천은 돈벌이가 잘되는 곳으로 소문이 번져 많은 산동인들이 서해를 건너 왔다.

     

    한편 1887년에는 산동 연태지방에 살던 왕씨와 강씨가 채소 종자를 들여와

    채소 농사를 시작하니 당시 조선에서는 볼 수 없던 양파, 당근, 토마토 등이 모두 이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특히 중국의 상해, 청도, 연태, 석도 등에서 왕래하는 화물선이 기항하는 인천은

    일본인 및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이다 보니 다른 지역에 비해 화교의 숫자도 많아

    그들이 조차한 지금의 차이나타운이 좁아 경동, 신포동 일대, 용현동, 주안, 부평지역에 모여 살며

    상업 활동 외에 채소 시장까지도 그들에 의해 성업을 이루게 된다.

     

    외국에 나가 살더라도 조국이 잘 살아야 대우를 받는다.

    1894년 일본과의 전쟁(청일전쟁)에서 힘 한번 써보지 못하고 손들고,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은 서방세력에게 안방을 내주고, 타이완, 만주지역도 문서로만 중국령 일뿐

    일본이 주인 노릇을 하니, 한국에 있는 화교들의 생활도 그리 안정적 일 수는 없었다.

     

    그래도 한국인에게는 대국인으로 행세하며 거들대던 세월도 한국 전쟁과 인천상륙작전으로 거의 파괴되고 만다.

    영흥도 앞바다에 정박하여 인천을 향한 함포사격을 정면으로 받은 곳이 지금의 차이나타운이다.

    사진으로 보면 당시 청관 거리는 2층으로 된 중국식 건물이 즐비하게 보이건만 지금 남아있는 곳은 아주 드물다.

     

    전쟁 후 화교 사회는 한국에서 외면을 당하기 시작한다.

    폐개혁으로 장롱 속 돈을 모두 신고해야 했고, 외국인 부동산 소유제한으로

    그들이 반세기 이상 가꾸어온 주안, 용현동, 부평 일대의 황금 농장이 헐값에 판매되거나

    남의 손으로 넘어가게 되니 거의 반수 이상의 화교들이 이 땅을 떠난다.

    더군다나 화교들만이 경영하던 중국 음식업계에 한국인들도 경영허가를 내주니 그들의 생활은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인천 차이나타운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중국의 급부상과 하나의 지구촌 시대를 맞이하여 재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6·25전쟁 이후 급속도로 위축된 차이나타운은 인천이 대중국 교류의 중심도시로 성장하고

    또한 21세기 지구촌의 세계화 바람에 힘입어 이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성이 재조명되면서

    인천의 새로운 문화와 관광 명소로 부상함에 따라 재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인천 차이나타운 홈페이지 http://www.ichinatown.or.kr/ 에서 내용을 퍼옴.

     

    = 인천광역시 중구 선린동, 북성동 일대 =

     

     

     

     

     

     

     

     

     

     

     

     

     

     

     

     

     

     

     

     

     

     

     

     

     

     

     

     

     

     

     

     

     

     

     

     

     

     

     

     

     

     

     

     

     

     

     

     

     

     

     

     

     

     

     

     

     

     

     

     

     

     

     

     

     

     

     

     

     

     

     

     

     

     

     

     

     

     

     

     

     

     

     

     

     

     

     

     

     

     

     

     

     

     

     

     

     

     

     

    181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