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십자가의 길 - 15처(배티순교성지, 최초의 조선교구 신학교)
    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14. 8. 17. 05:30

    십자가의 길 - 15처(배티순교성지, 최초의 조선교구 신학교)

     

    충북 진천군 백곡면 배티로 708(양백리), 최초의 조선교구 신학교이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와

    프랑스 선교사들이 '성당 겸 사제관'으로 사용하던 터에 조성한 십자가의 길 - 15처

     

    십자가의 길 기도의 유래

    사순시기 동안 교우들의 신심행사 중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는 것은 주님이 걸어가신 길,

    즉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십자가의 길 기도이다.

    고통의 길이라고도 하는 십자가의 길은 초대교회 때에 예루살렘 성지를 순례하던 순례자들이

    실제로 빌라도 관저에서 갈바리아 산까지 걸으면서 기도드렸던 데서 유래한다.

    전설에 의하면 성모 마리아께서도 예수 승천 후 예수님을 따르던 제자들과 함께 이 길을 자주 걸으셨다고 한다.

    그리고 예수님을 사랑하던 사람들도 자주 이 길을 찾아 그분을 생각하고, 흠모하며, 눈물로써 기도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초기에는 오늘날과 같은 구체적인 형태나 기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본격적으로 십자가의 길을 만들어 기도하기 시작한 것은 14~15세기 경부터이다.

     

    1342년 프란치스코회가 성지에 대한 관리를 맡으면서 십자가의 길 기도는 하나의 신심행사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수난과 그 장소들에 대한 신심을 증진시기는 것을 그들 사명의 한 부분으로 여겼으며,

    이에 따라 더욱 대중화된 이 신심은 십자가의 길 각 처에 대한 신심에서 잘 표현되었다.

    그리고 예루살렘 순례지가 지리적, 정치적인 장애를 받게 되자 유럽에서는 성지 모형의 십자가의 길을 만들어 기도하기 시작했다.

    이 신심은 먼저 세계 곳곳에 있는 프란치스코회 수도원들과 그 수도원의 성당들에서 일반화되었고,

    이런 곳에서부터 근처 성당에로 확산되었다.

    15-6세기에는 각 처의 숫자가 고정되지 않았으나, 1637년에 이르러서는 교황청에 의해 오늘날처럼 되기 시작하였다.

    1731년 교황 클레멘스 12세는 모든 교회에 십자가의 길을 설립하는 것을 허용하였고, 처의 숫자도 14처로 고정시켰다.

    19세기에 이르러 이 신심은 전세계에 퍼져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하는 가장 좋은 기도로서 특별히 사순시기에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성당이나 그밖의 공적인 기도 장소에서도 개별적으로 혹은 사제와 함께 공동으로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십자가의 길은 14처로 구성되어 있지만, 어느 지역에서는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15처를 추가하기도 하였다.

    1975년 교황 바오로 6세께서는 최후의 만찬에서 시작하여 부활로 끝을 맺는 이런 형태의 십자가의 길을 승인하였다.

    십자가의 신심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부의 뜻을 따라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신 구원의 신비를 묵상하는 신심이다.

    그러므로 십자가의 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도가 가지고 있는 엄격한 틀이 아니라

    각 처가 기념하는 예수님의 수난 사건들을 통해 이끌어내는 기도와 묵상이다.

    이 신심은 우리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영광으로 기념하고,

    그 안에 우리의 구원과 생명과 부활이 있음을 깨닫게 하고, 그로써 우리가 구원과 자유를 얻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출처: 정의철, 생활성서 1998년 3월호)

     

    제1처 예수님께서 사형선고를 받으심을 묵상합시다.

     

     

    제2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지심을 묵상합시다.

     

    제3처 예수님께서 기력이 떨어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제4처 예수님께서 성모님을 만나심을 묵상합시다.

     

    제5처 시몬이 예수님을 도와 십자가 짐을 묵상합시다.

     

    제6처 베로니카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 드림을 묵상합시다.

     

    제7처 기력이 다하신 예수님께서 두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제8처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부인들을 위로하심을 묵상합시다.

     

    제9처 예수님께서 세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제10처 예수님께서 옷 벗김 당하심을 묵상합시다.

     

    제11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심을 묵상합시다.

     

    제12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을 묵상합시다.

     

    제13처 제자들이 예수님 시신을 십자가에서 내림을 묵상합시다.

     

    제14처 예수님께서 무덤에 묻히심을 묵상합시다.

     

    제15처 예수님께서 부활하심을 묵상합시다.

     

     

     

     

     

    103위 성인 계단

     

    聖 김대건 안드레아와

    聖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천상 전구를 위하여

    2002. 12. 3

     

     

    202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