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천역 급수탑(漣川驛 給水塔)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4. 9. 6. 03:44
연천역 급수탑(漣川驛 給水塔)
이 시설물은 1914년 서울에서 원산까지의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상·하행선의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한 시설로 경원선의 중간지점인 연천역에 설치한 2개의 급수탑이다.
원통형과 상자형으로 각기 다르게 되어 있고, 보존상태는 양호한 상태다.
상자형 급수탑은 콘크리트조로 외관에 줄눈을 그려 조적조인 것처럼 보이며
기단, 몸통, 처마의 구성을 확실히 갖추고 있고,
출입구 부분은 아치형으로 이맛돌(Key Stone)을 만들어 놓았다.
또한 높이 23m의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6.25 한국전쟁 당시의 총탄흔적이 남아있다.
1950년대 디젤기관차가 등장하여 제 기능을 다하고 사라졌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철도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연천역 급수탑(漣川驛 給水塔)은 2003년 1월 28일 등록문화재 제45호로 등록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연천역 구내 =
2083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산 가는 길, 금강산 전기철도교량(金剛山 電氣鐵道橋梁) (0) 2014.09.08 구 철원군 도로원표(舊 鐵原郡 道路元標) (0) 2014.09.07 최초의 조선교구 신학교,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성당 겸 사제관 (0) 2014.08.30 신흥사 극락보전(新興寺 極樂寶殿) (0) 2014.08.27 신흥사 보제루(新興寺 普濟樓) (0) 201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