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엄사원통전전사자탑(華嚴寺圓通殿前獅子塔)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6. 2. 2. 23:30
화엄사원통전전사자탑(華嚴寺圓通殿前獅子塔) - 보물 제300호
화엄사(華嚴寺)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화엄종을 널리 알리던 절로,
창건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승려들이 이곳에 머물면서 화엄사상의 구현을 이루어 왔다.
신라 후기에는 승려 도선(道詵)에 의해 크게 확장되었고,
고려 문종 때에는 전라도 및 경상도에서 이 절에 매년 곡물을 바치도록 허락해 주어 일주문 밖에 큰 창고를 짓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7년 만에 여러 건물들을 다시 세웠으며, 이후 여러 번의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탑은 절 안의 원통전 앞에 서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독특한 석탑으로, 네 마리의 사자가 길쭉하고 네모난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이다.
절에서는 보통 노주(露柱)라고 부르는데, 무엇으로 사용되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며,
불사리를 모셔놓은 것이라 하기도 하고, 불가의 공양대(拱養臺)로 쓰였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이다.
탑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기단(基壇)은 2단으로, 아래층 기단은 무늬없는 석재로 구성된 소박한 모습이다.
이 탑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위층 기단은 각 모서리에 사자상을 놓은 모습이다.
사자들은 연꽃받침 위에 앉아 연꽃이 조각된 돌을 머리에 이고 있다.
탑신(塔身)에는 직육면체 모양의 몸돌이 있다.
몸돌의 각 면에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둘렀으며, 그 안에 신장상(神將像)을 조각하였다.
몸돌 위에는 1장의 판돌이 있는데, 밑면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반구형의 돌이 솟아 있다.
위층 기단을 네 마리의 사자를 이용하여 만든 것은 이곳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국보 제35호)을 모방한 것이나,
조각수법은 이에 못미처 이보다 훨씬 뒤인 9세기경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4사자 감로탑은 신라 문무왕17년(677)에 조성한 것이며 4사자의 표정은 인간의 감정인
희노애락(기쁨,성냄,슬픔,즐거움)을 표현한 것으로 사람들의 수많은 번뇌를 뜻하며,
사자의 표현은 부처님의 말씀, 부처님의 법문을 사자후(獅子吼) 또는 감로법(甘露法), 부처님의 지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석탑은 사람들의 수많은 번뇌를 부처님의 청정한 지혜를 얻게 하여
나고 죽는 윤회에서 벗어나 연화장세계로 이끌어 주는 감미로운 탑이라 할 수 있다.
2007년 2월에 주지 종삼스님이 이끼제거를 하여 탑이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존공사를 하였고
다시금 2012년 2월에 4사자 감로탑 해체보수및 보존처리공사를 했다.
화엄사원통전전사자탑(華嚴寺圓通殿前獅子塔)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00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황전리) 화엄사 =
화엄사 원통전(華嚴寺 圓通殿)
원통전에는 관세음보살님, 칠성, 독성, 산신이 모셔져 있으며
또 법당에 부휴집(浮休集), 염불직지(念佛直指)등 많은 귀중한 목판본이 보관되어 있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님은 크고 넓고 자비로운 덕이 있으신 분으로
가장 널리 우러름을 받으시며 극락세계에서 아미타 부처님을 도우시는 분이다.
이 세상의 모든 곳에 나타나 형편을 살피시고 모든 이들을
괴로움과 어려움에서 구해 주시는 인자하신 분으로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이라고도 한다.
칠성(七星)님은 사람들의 좋은일,나쁜일,복덕,수명장수를 도와 준다고 한다.
독성(獨聖)님은 부처님의 제자인 나반존자로 천태산에서 혼자 도를 닦아 연각(緣覺)을 이룬 분이다.
산신(山神)은 산신령, 산왕대신으로 산을 맡아 수호 하고 있는 분이다.
조선 숙종29년(1703) 계파선사께서 중건했고, 1978년에 명선스님이 해체중수 했으며,
1997년에 종열스님이 관세음보살상을 개금 하였으며, 2006년 10월 종삼스님 기와번와를 하였다.
편액은 정조23년(1799)에 조종현에 의해 쓰여진 것이다.
3574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흥 쌍충사(高興 雙忠祠) - 전라남도 기념물 제128호 (0) 2016.02.07 지리산(智異山) 산신제(山神祭)를 지내는 사당(祠堂), "남악사(南岳祠)" (0) 2016.02.03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槐山 院豊里 磨崖二佛竝坐像)-보물 제97호 (0) 2015.12.30 괴산 각연사 비로전(槐山 覺淵寺 毘盧殿)과 석조비로자나불좌상(石造毘盧舍那佛坐像) (0) 2015.12.27 강릉 선교장(江陵 船橋莊) (0) 2015.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