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달문 동종(八達門 銅鐘)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수원사랑/문화재(文化財) 2017. 1. 5. 20:53
팔달문 동종(八達門 銅鐘)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종신에 새겨진 기록으로 시주한 사람들의 이름을 새겨넣은 것으로 보인다.
종신(鐘身)의 보살상(菩薩像) 위에는 범자(梵字)문이 둘러져 있다.
종신(鐘身)의 보살상(菩薩像) 위에는 범자(梵字)문이 둘러져 있다.
상단 유곽(乳廓)의 유두(乳頭)가 보상화문(寶相華文)으로 장식되어 있다.
팔달문 동종 용뉴(龍鈕)
팔달문 동종(八達門 銅鐘)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1687년에 화성시에 있는 만의사 종으로 주조(鑄造)되었다.
이후 수원 화성 건설과 함께 수원으로 옮겨져 종로의 종각에 있었기 때문에 팔달문 동종이라고 불렀다.
종신에 있는 기록을 통해 1080년에 처음 만들어졌고,
1687년(숙종 13년)에 경기도 수원부 만의사 대종으로 새로이 주조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종의 상단에는 범자(梵字)를 새겨 넣은 원형문양을 두 줄로 돌렸고, 그 아래에 유곽(乳廓)과 보살입상을 교대로 배치하였다.
다른 종과 달리 특이한 것은 유곽안의 유두(乳頭)가 보상화문(寶相華文)으로 표현된 것이 독특하다.
이후 종각이 헐린 이후에는 팔달문 누각안에 보관되어 있다가
문화재 보호를 위해 2008년 9월 수원박물관이 개관하면서 이전, 보관, 전시하고 있다.
팔달문 동종은 높이 122.7㎝, 입지름 75.8㎝. 1976년 7월 3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다.'수원사랑 > 문화재(文化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華城)을 지켜주는 신(神)을 모신 곳, 성신사(城神祠) (0) 2017.04.23 벚꽃이 흐드러진 항미정(杭眉亭) (0) 2017.04.22 수원 금곡동 고인돌(水原 金谷洞 支石墓, 금곡동 지석묘) (0) 2017.01.03 조선왕릉(朝鮮王陵)과 왕실계보(王室系譜) (0) 2016.12.08 봉선사 대종(奉先寺 大鐘) - 보물 제397호 (0) 2016.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