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양동마을 심수정(心水亭) - 중요민속자료 제81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6. 11. 8. 23:00
경주 양동마을 심수정(心水亭) - 중요민속자료 제81호
경주 양동마을 심수정(心水亭) - 중요민속자료 제81호
이 정자는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년~1553년)의 동생인 농재 이언괄(聾齋 李彦适, 1494년~1553년)을추모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이언괄은 벼슬을 마다하고 형 대신 노모를 모셨다.
여강 이씨(驪江 李氏) 문중에서 세운 것으로 조선 명종 15년(1560)쯤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지금 있는 정자는 철종 때에 화재로 행랑채를 빼고 화재로 모두 타 버려 1917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이 마을에서 가장 큰 정자이며, 올려다보는 경관이 웅장하며,
옛 품격을 간직한 행랑채를 비롯해 건물을 다듬은 기술이 뛰어나다.
이 정자는 ㄱ자형 행랑채와 함께 마을 산등성이에 있다.
동북향으로 정자를 바라볼 때 왼쪽부터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청과정면 2칸, 측면 1칸반의 사랑방이 있고, 방 앞에 개방된 툇마루가 있다.
대청 정면에는 심수정(心水亭)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고, 다른 쪽에는 이양재(二養齋)라고 걸려 있다.
대청의 전면 ㄱ자로 꺾인 곳에는 마루 1칸, 방 1칸, 누마루 1칸이 있으며, 누마루에는 함허루(涵虛樓)라는 편액을 걸었다.
행랑채는 부엌·방·마루·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는 막돌허튼층으로 쌓고
기둥받침(주좌,柱座) 위에 돌초석을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윗몸은 기둥머리(주두,柱頭)를 놓고 이익공(二翼工) 양식으로 꾸몄다.'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양동마을 동호정(東湖亭) (0) 2016.11.17 경주 양동마을 수운정(水雲亭) - 중요민속자료 제80호 (0) 2016.11.10 영광 불갑사 만세루(靈光 佛甲寺 萬歲樓) -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66호 (0) 2016.11.08 경주 양동마을 사호당 고택(沙湖堂 古宅) - 중요민속자료 제74호 (0) 2016.11.07 오산(烏山) 독산성(禿山城) 및 세마대지(洗馬臺址) - 사적 제140호 (0) 2016.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