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광조 선생을 기리는 서원, 심곡서원(深谷書院)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7. 11. 3. 21:45
조광조 선생을 기리는 서원, 심곡서원(深谷書院)
심곡서원(深谷書院) - 사적 제530호
심곡서원은 조선 중기 중종 대의 학자이며 정치가였던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 1482∼1519) 선생의 뜻을 기리고 제사 지내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선생은 조선 중종(재위 1506∼1544) 때 사림파의 대표로 활약하면서 급진적인 사회개혁정치를 추진하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사약을 받고 죽음을 당하였다.
효종 원년(1650년)에 조광조의 학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서원을 설립하였으며,효종은 "심곡(深谷)"이라는 현판과 토지, 노비 등을 하사하여 심곡서원은 사액서원이 되었다.
이곳은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에도 무사했던 전국 47개 서원. 사당 중의 하나로서,
선현에 대한 제사와 지방교육을 담당하였다.
심곡서원 입구의 홍살문과 외삼문, 강당, 내삼문, 사우(사당)가 거의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강당은 서원에서 벌어지는 여러가지 행사를 치르고 유림들이 모여 회의와 학문을 토론하던 장소이다.
강당 안에는 숙종의 어제어필이 담긴 현판과 서원의 규약 등이 걸려 있다.
사당에는 정암 조광조와 학포 양팽손(문신, 조광조를 위해 여러 차례 상소를 하였음)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중정일(中丁日)에 향사를 올리고 있다.
심곡서원은 최초 사당을 중심으로 제향기능을 강조하여 지어졌으며,이후 앞쪽에 강당을 두고 뒤편에 재사를 두는 전당후재의 모습을 보였고,
심곡서원도가 그려진 시기에 앞서서 전재후당의 공간구성을 보이고 있음을 옛 자료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조광조 선생의 묘소는 심곡서원 맞은편 좌측 앞산에 있으며,심곡서원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호에서 2015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0호로 지정되었다.
기묘사화: 1519년에 조광조와 사림파 인사들이 대거 숙청된 사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 (상현동)'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 석불입상(江陵 石佛立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0) 2017.11.21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文貞公 趙光祖 墓 및 神道碑) (0) 2017.11.05 칠장사 사적비(七長寺 事蹟碑) - 안성시향토유적 제24호 (0) 2017.11.02 칠장사 천왕문(七長寺 天王門)과 소조사천왕상(七長寺 塑造四天王像) (0) 2017.11.02 칠장사 대웅전과 죽림리 삼층석탑 (0) 201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