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 나옹선사
    일상생활속에서/사람사는 현장 2017. 12. 19. 23:30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 나옹선사


    청산(靑山)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창공(蒼空)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탐욕(貪慾)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세월(歲月)은 나를 보고 덧없다 하지않고
    우주(宇宙)는 나를 보고 곳없다 하지않네
    번뇌(煩惱)도 벗어놓고 욕심(慾心)도 벗어놓고
    강같이 구름같이 말없이 가라하네.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1376)

     

    공민왕의 왕사이며. 고려 말기의 고승으로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 본 이름은 원혜(元慧)이다.

     속성은 아()씨인데 고려 말 예주부(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하였다.

    고려말 고승으로 20세 때 친구의 죽음을 보고, 출가해 공덕산 묘적암(妙寂庵)요연(了然)선사에게서 득도했다.

    1348(충목왕 4) 원나라에 가서 연경(燕京)고려사찰인 법원사(法源寺)에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았다

    선사는 견문을 더욱 넓히기 위해 중국 각지를 편력하며, 특히 평산 처림(平山處林)과 천암 원장(千巖元長)에게서 

     달마(達磨)로부터 내려오는 선()의 요체를 배워 체득했다.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인도의 고승 지공(指空)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절터가 있는데 경주의 황룡사 절터보다 규모가 큰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로 중창했고,

    조선 태조 왕사로서 한양천도의 주요 인물인 무학대사는 그의 제자였다.

    나옹, 지공, 무학, 세분의 부도와 비석이 회암사터의 뒤쪽에 현존하고 있는데,

    비석은 조선왕조 유학사상의 지주였던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이 찬하여 지금도 비문이 남아있다.

    그 출생지 부근에 장륙사라는 조그만 사찰이 있는데고려 공민왕때 건물과 건물 내벽에 그의 초상화가 남아있다.

    그가 입적한 남한강변 여주 신륵사에도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비문이 남아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