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화서문(水原 華西門) - 보물 제403호수원사랑/수원화성(水原華城) 2019. 2. 22. 04:30
수원 화서문(水原 華西門) - 보물 제403호
화성(華城, 사적 제3호)의 서문이다.
좌우 성벽에 연결되는 돌로 된 기부에 홍예문(虹蜺門)을 두어 그 위에 단층의 문루를 세웠다.
문의 앞부분에는 벽돌로 쌓은 반달형의 옹성(甕城 : 성문의 양쪽에 쌓아 적을 방비하는 시설)이 있는데
그 높이는 내측이 2.62m, 외측이 3.65m, 두께는 3.25m이다.
이 옹성은 한 옆이 트여 있어 문을 출입할 때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옹성 위에는 장안문(長安門)이나 팔달문(八達門)과 같이 용도가 문루 기부에서 통할 수 있게 하고,
그 양면에 여장(女墻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을 쌓아
외부로 근총안(近銃眼)·원총안(遠銃眼)·현안(懸眼)을 뚫어 철저한 방어가 되도록 하였다.
문루는 기부 양측에 내부로 계단을 두어 오르게 되어 있으며 사방에 전축 여장을 돌리고 옹성측에는 타(垛)를 두고 있다.
여장의 밑, 기부 전후면 상부에는 석루조(石漏槽)를 2개씩 설치하고 있다.
또 양측 계단과 연결되는 곳에는 누각으로 통하는 일각문 형식의 협문(夾門)이 각 1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누각은 평면으로 보아 정면 3칸, 측면 2칸(60.83㎡)의 단층건물이며,
사각초석 원형주좌 위에 원기둥을 올려 세운 이익공(二翼工)의 형식이다.
바닥은 중앙간에만 마루를 깔아 밑에 홍예 부분의 천장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그 밖의 부분은 강회다짐 흙바닥으로 되어 있다.
상부는 연등천장(椽背天障, 연배천장)으로 목가구(木架構)가 노출되게 꾸몄는데
외목도리를 둔 이익공 굴도리 5량(五樑)의 구조이고, 대량(大樑)과 종량(宗樑)을 두고 있다.
익공 쇠서와 첨차(檐遮), 보아지의 형태는 전형적인 조선 후기 양식이다.
또 창방(昌枋)과 주심도리 장여 사이에는 화반(花盤)을 배열하고 그 위에서 소로를 하나씩 끼워서 장여를 받치고 있다.
보머리와 마룻대공(宗臺工, 종대공) 등은 간단하게 주름무늬 조각을 하였다.
지붕은 비교적 기울기가 낮게 꾸며진 팔작지붕이며 지붕마루는 양성을 바르고 서까래와 부연을 가진 겹처마집이다.
이 건물은 1975년 화성의 중수공사 때 옹성과 함께 보수되었다.
화서문 편액은 초대 화성유수였던 채제공(蔡濟恭)이 썼으며
옹성 안 홍예문 좌측 석벽에는 성문 공사를 맡은 사람들과 책임자들을 기록한 공사실명판이 있다.
화서문 공사 실명판 각자(刻字)
화서문 실명판 각자는 석질이 좋지 않고 풍화에 마멸이 심해 흐릿하게 볼 수 있다.
別監董前府使 金處漢, 牌將僉使 金泰瑞, 閑良 尹鎭黙, 石手 朴尙吉
(별감동전부사 김처한, 패장첨사 김태서, 한량 윤진묵, 석수 박상길)
'수원사랑 > 수원화성(水原華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화성 오성지(水原華城 五星池) (0) 2019.02.26 수원화성(水原華城) 동암문(東暗門) (0) 2019.02.24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水原華城) 설경(雪景) - 사적 제3호 (0) 2019.02.20 수원화성(水原華城) - 사적 제3호 (0) 2019.02.18 수원 서북공심돈(水原 西北空心墩) - 보물 제1701호 (0) 2019.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