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왕인박사유적지 돌탑의 유래​
    국내 나들이/관광지(觀光地)로 2020. 7. 2. 21:33

    천자문 계단(千字文 階段)

     

    천자문 계단은 250계단으로 되어 있으며,

    입구의 1계단 천지현황(天地玄黃)의 4자(四字)로 시작해

    계단마다 4자(字)씩 보면서 250계단을 오르면 1,000자를 읽을 수가 있다.

     

    왕인박사유적지 돌탑의 유래​

     

    마을 어귀에 쌓은 돌탑은 옛날부터 액(厄)을 막고 복을 불러들인다고 믿던 신앙의 대상이었다.

    험준한 고갯길에서 만나는 돌탑은 맹수를 물리치기 위해 쌓은 것으로

    다음 사람을 위해 늘 돌을 채워 놓았다.

    옛날 우리나라에는 돌을 던져 전투를 하는 석자군(石子軍)이라는 군대가 있었다.

    임진왜란 때 앞치마로 돌을 날라 와 석전(石戰)으로 왜군에게 대승을 거둔 행주대첩은

    그때까지 남은 석자군의 명맥이었다.

    또 정월대보름이나 단오절의 돌팔매 놀이는 편싸움 또는 석전이라고 했는데,

    고구려와 고려, 그리고 조선 왕이 참관했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 석역당(石役幢), 고려 석역군(石役軍), 조선 척석군(擲石軍)은 모두 석자군과 같은 군 편제이다. ​

    병기가 발달하면서 돌을 더 이상 무기로 쓰지 않게 되었지만,

    사람들은 오랜 습관대로 길가 돌무더기를 보존해, 맹수나 산적으로부터 여행길에 안전하기를 기원했다.

    돌무더기를 석성황(石城隍)이라 부르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

     

    돌탑과 관련된 또 다른 이야기로 중국 강태공(姜太公)의 일화를 빼 놓을 수 없다.

    강태공은 은(殷)나라 주왕(紂王)의 폭정을 피해 낚시바늘이 없는 낚시대를 드리우며 세월을 낚았다.

    그러나 오랜 세월 궁핍을 견디지 못한 부인은 집을 나가 버렸다.

    강태공은 위수(渭水)에서 낚시를 드리우며 때를 기다린 지 10여 년 만에

    인재를 찾아 떠돌던 주(周)나라 문왕을 만나 재상으로 등용되었고,

    훗날 주왕의 군대를 물리치고 주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웠다.

    ​강태공이 제(濟) 땅을 영지로 받아 제후가 된 후 부인이 찾아와 함께 살겠다고 했다.

    그러자 강태공은 물을 떠 가지고 온 뒤 바닥에 쏟아 붓고는 부인에게 주워 담으라고 했다.

    부인이 어쩔 줄 몰라 하자, 강태공은 ‘한 번 쏟아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復水水返盆)’며

    같이 살기를 거절했다. 뒤에 부인이 죽자 사람들이 돌무덤을 쌓아 주었다고 한다.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왕인로 440 (동구림리) 왕인박사유적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