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격장군 계공 청덕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21. 4. 6. 19:24
흠차통령절직수병유격장군계공청덕비(欽差統領浙直水兵游擊將軍季公淸德碑)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출병했던 명(明)나라 장수의 공덕을 기록한 청덕비로
비문 내용에는 계금장군이 갑자기 바다의 폭풍이 일어 많은 배가 침몰하자
조선의 사공 중 물에 젖어 옷이 언 자를 보고 자신의 옷을 벗어 입혀줄 정도의
인덕과 어린아이일지라도 속이지 않은 청렴함을 지녔다고 기록됐다.
유격장군 계공 청덕비(遊擊將軍 季公 淸德碑) - 충남 유형문화재 제159호
이 비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했던 명나라 수군 장수
계금(季金)의 공덕을 기리는 비석으로 전쟁 중이던 1598년 4월에 세워졌다.
유격장군(遊擊將軍) 계금은 명나라 절강성(浙江省) 출신의 수군장(水軍將)으로
왜란 당시 3천 명의 수군을 이끌고 이곳에 상륙한 뒤 전라도로 이동하여 왜군을 토벌하였다.
비문은 당시 승문원 교리 안대진(安大進)이 지었으며
장군의 덕(德)을 칭송하고 왜적을 빨리 무찌르기를 기원하였으며,
장군의 위엄을 빌어 바다에서의 안녕을 기도하자는 내용이다.
이 비석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 수군이 충청수영에 상륙하였음을 알려주고,
당시의 민속(民俗)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비신(碑身)은 대리석으로 되어 있으며 높이 104㎝이다.
비석의 머릿돌인 이수는 반원형으로 되어 있고,
지붕받침은 생략되어 있으며 조각도 용트림 대신 구름무늬를 넣었다.
구름무늬는 앞면에 7개, 옆면에 2개가 새겨져 있다.
제액(題額)은 반원형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글씨가 없다.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661-9 (오천초교 교사동 후편)
'국내 나들이 > 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금도 양성이씨 효자비와 열부비(八禽島 陽城李氏 孝子碑와 烈婦碑) (0) 2021.04.29 심훈 선생 동상 (0) 2021.04.12 평택 임씨 시조 임팔급(林八及) (0) 2021.04.01 서상돈(徐相敦) 아우구스티노 흉상 (0) 2021.03.25 논개생장향수명비(論介生長鄕竪名碑) (0) 20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