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가등록문화재, 인천세관 구 창고와 부속동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1. 25. 20:09

    세관 조형물

     

    대한민국의 관세국경 지킴이 인천세관(관세청 마크와 솔개)과

    세계의 관문, 살고 싶은 도시 인천시(인천시 심벌마크)가 함께 만들었다.

     

     
     
     

    인천세관 역사공원(仁川稅關 歷史公園)

     
     
     
     

    인천세관 구 화물계(貨物係) 사무소 건물

     
     
     

    인천세관 구 선거계(船渠係) 사무소 건물

     
     
     

    국가등록문화재, 인천세관 구 창고와 부속동

     

    이 건물들은 1911년에 신축된 인천세관(仁川稅關)의 창고(倉庫)와 부속 건물(附屬 建物)이다.

    조선은 1876년에 일본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강화도조약)를 맺으면서

    부산, 원산, 인천 3곳의 항구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였다.

    그리고 외국 물품의 수출입을 공식적으로 시작하였다.

    인천세관은 당시 인천항을 통과한 모든 물품과 사람들이 세금을 내기 위해 거쳐 간 곳이다.

    처음에는 항구를 통해 드나드는 물품에 세금을 매기는 것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여 관세를 걷지 않았다.

    그러다가 1883년에 지금의 세관인 해관(海關)을 설치하고 관세(關稅)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인천은 우리나라 최초로 근대 세관 업무를 시작한 곳으로 이 건물들은 그 의미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창고 건물은 191년에, 선박 관리(船渠係)와 화물 관리(貨物係) 업무를 보던

    부속 건물 두 동은 1918년경에 건립되었다.

    하지만 세관은 한국전쟁 때 불탔으며, 창고와 부속 건물만 남았다.

    2012년에 수인선 지하철 공사를 하면서 창고는 원래 자리에서 40m가량 옮겨 복원하였다.

    나무로 만든 지붕 구조에 붉은 벽돌로 마감한 창고의 디자인은 새로 지은 신포역 출구에 반영되었다.

     

    인천광역시 중구 인중로 191-9 (항동 7가)

     
     
     
     

    인천세관 역사관

     
     
     

    인천항 호안석축용 석재(仁川港 護岸石築用 石材)

     

    인천항은 매립으로 육지 면적을 꾸준히 넓혀온 지역이다.

    이 돌들은 1905년 인천항 매립과 호안석축공사 시 실제 사용하였던 것들의 일부이다.

    구 세관창고의 이전을 위해 창고 벽체를 잘라냈을 때 그 하부에서 발견되었는데,

    인천본부세관은 창고를 이전 복원하면서 이 석재들도 모두 수습(收拾)해 이곳에 모아 두었다.

     
     
     
     

    인천세관 역사공원, 역사관 시민개방 기념식수

     

     

     

    인천세관 역사공원 안내도

     

     

     

    수인 분당선 신포역 출입구

     
     
     

    신포역(新浦驛)

     

    신포역(Sinpo station, 新浦驛)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 ~ 인천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하여

    2020년 9월 12일 수원 ~ 오이도 구간 개통으로 분당선과 직결 운행 개시하였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양쪽 승강장 사이 횡단이 불가능하다.

    신포역 2번 출구는 인천세관 구 창고를 본떠 지어졌다.

    출구가 있는 자리에는 본래 3동의 창고가 자리 잡고 있었으나,

    2동은 2010년 철거되고 1동은 40m 후퇴하여 인천항과 가까운 위치에서 보존되고 있다.

    이 역은 공사 중의 가칭인 국제여객터미널역(國際旅客―驛)으로도 알려졌다.

    역명을 개항장역(開港場驛)으로 지을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신포역 전동열차 시간표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