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물,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完州 威鳳寺 普光明殿)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1. 25. 21:12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공민왕 8년(1359년)에
나옹(懶翁) 스님이 절을 중수할 때 세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물,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完州 威鳳寺 普光明殿)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은 위봉사의 중심 전각이다.
이 건물이 처음 지어진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정유재란 때 피해를 입어
17세기 초에 다시 지었고 조선 후기에도 여러 차례 정비한 것으로 보인다.
현판은 헌종 4년(1838)에 보수할 당시 제작한 것이며,
현재 모습의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 다시 지은 것이다.
보광명전의 크기는 정면 3칸, 측면 4칸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중요 부분마다 굵은 목재를 써서 조각했으며
화사한 단청(丹靑)과 벽화로 치장하여 중후하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현종 14년(1673)에 조성된 내부 단청은 도료(塗料) 배합 등
이 분야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보광명전 불단에는 본존불인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상이 모셔져 있으며 용과 여의주 등으로 장식한 닫집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불단의 뒷벽과 좌우 벽체에는 흰옷을 입은 관음보살을 그린 백의관음도(白衣觀音圖) 1점과
부처님께 음악으로 공양을 올리는 것 같은 모습을 그린 주악비천도(奏樂飛天圖) 6점이 있는데
힘이 넘치게 선을 그은 것과 인물을 아름답게 표현한 것에서 조선 후기 벽화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 닫집 : 궁전 안의 옥좌 위나 법당의 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길 53 (대흥리) 위봉사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적, 위봉산성(威鳳山城) (0) 2022.01.28 보물, 완주 송광사 대웅전(完州 松廣寺 大雄殿) (0) 2022.01.27 국가등록문화재, 인천세관 구 창고와 부속동 (0) 2022.01.25 보물, 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完州 松廣寺 塑造 四天王像) (0) 2022.01.22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내동 성공회성당 (0) 202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