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물, 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完州 松廣寺 塑造 四天王像)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1. 22. 20:12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
보물, 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完州 松廣寺 塑造 四天王像)
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조각승 여인(呂仁)과 금산(金山) 등이
인조 14년(1636)부터 13년에 걸쳐 만들었다.
조선 후기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으로 나라가 위험에 빠지자
전국 여러 사찰에서는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 사천왕 신앙의 가피를 널리 구하였다.
사천왕은 지혜의 보검을 든 지국천왕(持國天王)이 동방세계를,
불탑과 정법의 깃발을 든 광목천왕(廣目天王)이 서방세계를,
용과 여의주를 든 증장천왕(增長天王)이 남방 세계를,
비파를 든 다문천왕(多聞天王)이 북방 세계를 관장하면서
그곳 중생들의 선악업보(善惡業報)를 면밀하게 살펴 생로병사와 길흉화복을 정해준다.
사천왕상의 크기는 425cm이며, 무인 같은 체형에 자비로운 보살의 용모와 형상을 하고 있다.
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검, 창, 용과 보주 깃발과 불탑을 손에 쥐고,
악귀를 발로 짓누르는 사천왕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다.
송광사의 소조 사천왕상은 소조상의 제작 기법과 사천왕상의 신체적인 특징,
균형감, 조형성 등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사천왕상으로 평가된다.
1994년 송광사 사천왕상을 조사할 때 사리, 보석, 약재 등을 넣어두는 후령통(候鈴筒)과
사천왕상 조상(彫像)에 참여한 시주자(施主者) 명단,
다수의 고려시대 목판본 경전, 충지 등이 복장유물로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255-16(대흥리) 종남산 송광사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完州 威鳳寺 普光明殿) (0) 2022.01.25 국가등록문화재, 인천세관 구 창고와 부속동 (0) 2022.01.25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내동 성공회성당 (0) 2022.01.22 완주 송광사 종루 및 동종 (0) 2022.01.21 등록문화재,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 (0)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