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청자상감 구름과 학 무늬 매병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2. 13. 21:04
청자상감 구름과 학 무늬 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청자에 구름과 학 무늬 감입(嵌入)
H 31.7cm × W 5.2cm, 고려시대(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
매병이라 불리는 이 기형을 고려 때는 준(樽)이라고 불렀다.
매병은 감상용 혹은 꿀, 기름 등을 담는 실용 용기로 사용되었다.
몸 전체에 검은색 흙(赤土)과 흰 흙(白土)을 태토(胎土)에 박아서 학과 구름무늬를 표현하고,
입구는 음각으로, 아래 부분은 상감으로 번개무늬 띠를 둘렀다.
1213년 이전 태안(泰安) 지역에서 난파된 마도(馬島) 2호선의 유물 중
‘청자상감 국화 모란 유로 죽문 매병(靑磁象嵌 菊花 牡丹 柳蘆 竹文 梅甁)’과 기형,
흑백 상감 장식이 비슷하고, 몸체에 상감된 구름 학 무늬가 부안 유천리에서 출토되는 것들과
유사하므로, 이 매병은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 부안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수 책가도 10폭 병풍(刺繡 冊架圖 十幅 屛風) (0) 2022.02.14 보물,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牙山 邑內洞 幢竿支柱) (0) 2022.02.13 국가등록문화재, 은제이화문탕기(銀製李花文湯器) (0) 2022.02.13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자수 연화당초문 현우경 표지 (0) 2022.02.13 국가민속문화재, 운봉수 향낭(雲鳳繡 香囊) (0) 2022.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