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기도 문화재자료, 과천향교(果川鄕校)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3. 19. 21:14

    홍살문(紅箭門)

     
     
     
     

    보호수(수종 : 느티나무)

     

    지정번호 : 경기-과천-3, 지정일자 : 1982. 10. 5.

    수령 : 약 300년(2009년 5월 기준)

    나무 둘레 : 2.5m, 수고 : 20m, 관리자 : 과천향교

     
     
     
     

    仁義禮智(인의예지)

     

    유학에서,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의 성품으로

    곧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움을 이른다.

     
     
     
     

    외삼문(外三門)

     
     
     
     

    명륜당(明倫堂)

     

    명륜당은 향교의 교육 공간으로 ‘인간의 윤리를 밝히는 집’이란 뜻이다.

    향교는 일반적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명륜당과 학생들이 숙식하는 동, 서재로 구성되어 있으나

    현재 과천향교에는 동, 서재가 사라지고 명륜당만 남아있다.

     

     
     
     

    명륜당(明倫堂)

     

    학생들의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던 것을 양쪽으로 1칸씩 늘려 지었다.

     
     
     
     

    내삼문(內三門)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한국의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꾸민 익공 양식이다.

    향교는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대성전(大成殿)과 문묘배향(文廟配享)

     

    대성전은 공자 등 성현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과천향교 대성전 안에는 중앙에 공자를 비롯한 5聖(성)과

    좌우로 송나라 2賢(현), 우리나라 동방 18賢(현) 등 모두 25位(위)를 모신다.

    과천향교는 매월 음력 1일과 15일에 분향례(焚香禮)를 지내고,

    매년 공자가 태어난 날인 양력 9월 28일과

    사망한 날인 양력 5월 11일에 석전제(釋奠祭)를 지낸다.

     

    * 분향례(焚香禮) : 신이 인간 세상으로 내려오기를 바라며 향을 피우는 의식

    * 석전제(釋奠祭) : 공자를 모신 사당인 문묘에서 지내는 제사

     

     

    과천향교에서 모시는 25성현(聖賢)

    대성지성문선왕 공자(大成至聖文宣王 孔子)

    성국 종성공 증자(郕國 宗聖公 曾子)

    ​연국 복성공 안자(兗國 復聖公 顔子)

    추국 아성공 맹자(鄒國 亞聖公 孟子)

    기국 술성공 자사(沂國 述聖公 子思)

     

    서종향위(西從享位)

    휘국공 주희(徽國公 朱熹)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문열공 조헌(文烈公 趙憲)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동종향위(東從享位)​

    예국공 정호(芮國公 程顥)

    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

    문성공 안유(文成公 安裕)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문경공 김집(文敬公 金集)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과천향교의 구조

     

    과천향교는 앞에는 배움의 공간, 뒤에는 제사 공간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 형식을 따랐다.

    과천향교의 홍살문과 외삼문을 지나면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그 뒤에 있는 내삼문에 들어서면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과천향교(果川鄕校)

     

    향교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 교육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에 해당된다.

    양민(良民)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으며,

    유생들은 시와 문장을 짓고 유학의 경전 및 역사를 주로 공부하였다.

    또한 향교에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냈다.

    과천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 관악산 기슭에 창건되었다.

    이후 숙종 16년(1690) 잦은 화재를 피하고,

    유생들의 교육과 과거급제에 보다 좋은 자리로 여겨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1944년 시흥향교, 과천향교, 안산향교를 과천향교로 통합하였으며,

    1959년 명칭을 시흥향교로 개정하였다가 1996년 과천향교로 복원하였다.

    1899년 ‘과천군읍지’에 따르면 당시 규모는 대성전(大成殿) 6칸, 명륜당(明倫堂) 10칸,

    東齋(동재), 서재(西齋), 전사청(典祀廳), 고사(庫舍) 등 모두 24칸이라 기록되어 있다.

     

    경기도 과천시 자하동길 18 (중앙동)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