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량(露梁)은 이순신장군(李舜臣將軍)이 순직한 곳...국내 나들이/관광지(觀光地)로 2008. 3. 24. 20:53
노량(露梁)은 이순신장군(李舜臣將軍)이 순직한 곳
노량 앞바다는 1598년(선조 31) 11월 19일 이순신(李舜臣)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과 벌인 마지막 해전이다.
이 해전을 마지막으로 7년간 계속되었던 조선과 일본의 전쟁은 끝났고, 이순신도 이때 적의 유탄에 맞아 전사한 곳이다.
정유재란으로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풍신수길)의 병사(病死) 소식을 듣고 철군하게 되었다.
이때 이순신은 명나라의 수사제독(水師提督) 진린(陳璘)과 함께 퇴로를 막기로 하였다.
그런데 철수부대를 실은 왜선의 해로를 열어줄 것을 조건으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소서행장)에게서
뇌물을 받은 진린은 이순신에게 왜군의 퇴로를 차단하지 말자고 권고하였다.
이순신은 이에 강경하게 반대하여 진린을 설득한 후 함께 왜군을 치기로 하였다.
고니시 유키나가는 경남 사천(泗川)에 있던 시마쓰 요시히로(島津義弘,도진의홍)와
남해의 소시라노부(宗調信,종조신)에게 구원을 청하여 전선 500여척을 노량 앞바다에 집결시켰다.
그러자 이순신은 휘하 장병에게 진격 명령을 내려 노량 앞바다로 쳐들어가
적선 50여 척을 격파하고 200여 명의 적병을 죽였다.
이때 왜군은 이순신을 잡을 목적으로 그를 포위하려 하였으나
도리어 진린의 협공을 받아 관음포(觀音浦) 방면으로 후퇴하였다.
이순신은 적선의 퇴로를 막고 이를 공격하여 격파하는 동시에 적에게 포위된 진린도 구출하였다.
이 해전에서 400여척을 격파당한 왜군은 남해 방면으로 도망쳤는데,
이순신은 이들을 놓치지 않으려고 필사적으로 추격하였다.
이 추격전에서 이순신은 적의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이순신은 죽는 순간까지 자기의 죽음을 알리지 말고 추격을 계속하여 적을 격파하라고 유언했기 때문에,
조선군은 왜군을 격파한 후에 이순신의 전사소식을 들었다.
이 추격전에서 왜군은 다시 50여 척의 전선이 격파당하고 겨우 50여 척의 남은 배를 수습하여 도망쳤다.
이 전투에서는 이순신 외에도 명나라의 등자룡(鄧子龍), 조선 수군의 가리포첨사(加里浦僉使) 이영남(李英男),
낙안군수(樂安郡守) 방덕룡(方德龍), 흥양현감(興陽縣監) 고득장(高得蔣) 등이 전사하였다.
이 전투를 마지막으로 7년간이나 끌던 조선과 일본 간의 전쟁은 끝났다.
2720 '국내 나들이 > 관광지(觀光地)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농민혁명 유적지 요천(蓼川)...척양척왜(斥洋斥倭:갑오동학혁명) (0) 2008.03.30 단심정(丹心亭)은 일편단심 한 남자를 위해 마음이 머무는 곳 (0) 2008.03.25 여수항(麗水港)에서 (0) 2008.02.23 서울 타워 (0) 2008.02.19 서울특별시청 앞 (0) 2008.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