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집(鬱陵島家)-울릉도 민가(鬱陵島 民家) 이 가옥은 울릉도의 가옥을 원형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 부엌, 방, 곳간, 변소, 장독대가 모두 외벽으로 둘러싸이고, 사면봉당으로 공간이 연결된 일(ㅡ)자형 집이다. 겨울이 길고 비바람과 눈, 습기가 많은 이 지역 기후조건에 알맞게 내외 이..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남부지방 대가(南部地方 大宅) 이 가옥은 호남지방의 가옥을 옮겨온 것으로 가옥 전체에 마루와 툇마루, 누마루가 고루 배치되어 있어 남부지방 양반가옥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ㄷ자형 안채와 ㄱ자형의 사랑채, 일자형(ㅡ)의 광채, 문간채가 ㅁ자형(ㄷ자형)..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남부지방 농가(南部地方 農家) 용인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남부지방 농가이다. ‘일자형(-자형)’을 기본으로 한 안채는 부엌에 딸린 부엌 방을 약간 달아내어서 변화를 보였다. 방 사이에는 큰 마루가 없이 두방이 밀착된 점과 뒤쪽에 안사랑과 마루를 둔 ..
정무담당 지방행정기관인 "관아(官衙)"-한국민속촌 관아(官衙)는 공청(公廳)이라고도 하며, 지방행정을 담당하는 외관직(外官職)의 정무(政務)를 집행하는 기관이다. 지방행정의 단위 부서인 주(州), 군(郡), 현(縣)에는 각기 관찰사(觀察使), 부사(府使), 군수(郡守), 현감(縣監), 현령(縣令) ..
웃음과 해학이 담긴 예술세계 “한국민속촌 탈춤전시관” 탈춤은 파계승, 몰락한 양반, 무당, 사당, 거사, 하인 등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을 통해 조선시대 서민문화의 특성을 대변하며, 흥겨운 놀이이자 당시 사회지도층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담고 있어 재미는 물론 조선시대의 생활상..
한국민속촌 마상무예 공연(韓國民俗村 馬上武藝 公演) 말 위에서 되살아나는 선조들의 무예 한국민속촌에서는 기마문화를 엿볼 수 있는 기예가 펼쳐진다. 가슴을 울리는 화려하고 역동적인 마상재는 매일 12:00시와 15:00시에 공연이 펼쳐진다. 용맹과 기백이 넘치는 역사 속 기마무예(騎..
돌장승,돌솟대(Totem Poles,Scared Poles) 장승은 마을의 수문신.수호신 또는 사찰이나 지역간의 경계표.이정표 기능을 갖고 있고, 벽사진경과 풍요다산, 노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솟대는 신령과 인간을 매개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풍요다산과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신앙의 대..
아슬아슬 외줄타기 공연(한국민속촌) 경기도 용인 한국민속촌에 가면 외줄타기를 하는 줄타기 명인 제1호 홍기철님의 공연을 볼 수 있다. 고령에도 아찔한 외줄타기 묘기가 박진감 넘친다. 명인이 한 발짝씩 움직일 때마다 관객들의 탄성과 환호가 터진다. 줄 위에 발을 얹은 15세부터 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