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승재정(昌德宮 勝在亭) 창덕궁 승재정(昌德宮 勝在亭) 창덕궁(昌德宮) 후원(後苑) 관람지(觀纜池) 옆에 위치한 정자로 정, 측면 1칸으로 익공계 사모 지붕을 하고 있다. 사방으로 툇마루를 놓고 난간을 설치하였으며 모두 4짝의 문을 달았는데 2짝씩 접어 들쇠에 매달아 들어 열 수 ..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 부용지(芙蓉池) 부용정(芙蓉亭) 주합루(宙合樓) 영화정(迎華亭) 부용정(芙蓉亭) 부용지(芙蓉池)에 두 다리를 연못에 담그고 있는 부용정은 사방으로 지붕이 돌출된 열 십자(十)자 형태의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1792년 건립된 부용정은 十(십)자형을 기본으로 하..
창덕궁후원 취규정(昌德宮後苑 聚奎亭) 창덕궁후원 취규정(昌德宮後苑 聚奎亭) 창덕궁 후원의 취규정은 인조 18년(1640년)에 창건된 정자로 학자들이 모인다는 뜻을 가진 취규정이란 액호로 보아 휴식과 독서를 위한 정자로 보인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팔작집으로 장대석 한벌대로 ..
창덕궁 보호수(은행나무) 창덕궁 보호수(은행나무) 창덕궁(昌德宮) 돈화문(敦化門) 옆에 있는 보호수, 은행나무(고유번호: 서1-8) 1972년 10월 12일 보호수 지정 당시에 수령이 425년이면 지금은 480년이 된 은행나무이다. 수고 15m, 나무둘레 335cm로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보호 관리하고 있다.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보물 제816호 대조전은 왕비가 거처하는 내전 중 가장 으뜸가는 건물이다. 이 건물에서 조선 제9대 왕인 성종을 비롯하여 인조·효종이 죽었고, 순조의 세자로 뒤에 왕으로 추존된 익종이 태어나기도 하였다. 조선 태종 5년(1405)에 지었는데 임진왜란 때를 ..
창덕궁 희정당(昌德宮 熙政堂) - 보물 제815호 창덕궁 희정당(昌德宮 熙政堂) - 보물 제815호 원래 왕의 연구실인 숭문당이었는데 연산군 대에 희정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비좁은 선정전이 종종 국장에 사용되면서 또 다른 편전으로 활용되었고 왕의 침실로 쓰이기도 했다. 지금의 희정당..
창덕궁 선정전(昌德宮 宣政殿) - 보물 제814호 창덕궁 선정전(昌德宮 宣政殿) - 보물 제814호 선정전은 궁궐의 편전(便殿: 사무공간)으로서 왕이 고위직 신하들과 더불어 일상업무를 보던 곳으로, 지형에 맞추어 정전 동쪽에 세워졌다. 아침의 조정회의, 업무보고, 국정 세미나인 경연 등 각..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국보 제225호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국보 제225호 1609년에 재건된 인정전은 창덕궁의 정전(正殿)으로 신하들의 조회, 외국 사신 접견 등 중요한 국가적 의식을 행하던 곳이다. 앞쪽으로 어도(御道)와 품계석(品階石)을 둔 조정 마당을 마련해 국가적..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