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 無量壽殿, 국보 제18호)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浮石寺 塑造如來坐像, 국보 제45호) 부석사 무량수전 편액(浮石寺 無量壽殿 扁額) 부석사 무량수전 편액은 공민왕(恭愍王, 1351~1374 재위, 고려 제31대 왕)의 친필을 판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민왕이 무량수전 편액..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浮石寺 無量壽殿 石燈) - 국보 제17호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浮石寺 無量壽殿 石燈) - 국보 제17호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팔각 석등(높이 2.97m)이다. 맨 아래 네모난 바닥돌의 옆면에는 꽃모양의 안상(眼象)을 새겼다. 그 위의 ..
부석사(浮石寺)의 유래 浮石(부석) 신라 문무왕 1년(661)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가 화엄학(華嚴學)을 공부하기 위해 당나라에 갔을 때 의상대사를 연모한 선묘(善妙)라는 여인이 있었다. 의상대사는 중국 장안에 있는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의 지엄삼장(智嚴三藏, 602~668)에게서 1..
월정사(月精寺) 수광전(壽光殿),무량수전(無量壽殿) 무량수전(無量壽殿)은 서방 극락정토의 교주 아미타불을 모신 곳으로 수광전(壽光殿), 극락전(極樂殿)이라고도 불린다. 월정사 무량수전은 상단에는 아미타부처님과 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좌우에 모시고 , 뒤쪽으로 ..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시는 사찰 당우(堂宇), 내장사 극락전(內藏寺 極樂殿)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신 전각으로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하며, 전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1964년에 세워졌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인간의 가장 큰 고통인 죽음을 물리치고 영원한 생명을 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