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 서로 앙숙인 개와 고양이가 나란히 몸을 기대고 있는 모습은 이해와 화합을 상징하며 입주민들 간에 서로 따뜻한 정이 오가는 곳, 서로 이해와 신뢰가 함께하는 곳임을 이야기 하도록 하였다. 2009. 12. 김도영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67 (진관동) 은평뉴타운 우물골아파트(두산위브4단지)
전복(全鰒), 오분자기, 소라 전복(全鰒) 전복과에 속하는 것 중 우리 나라에서 나는 중요한 종류는 까막전복과 말전복이다. 까막전복은 형태가 난상타원형으로서 배측연(背側緣:등 가장자리)을 따라 높은 공렬(孔列)이 있고, 마지막 4, 5개는 호흡공(呼吸孔)이 열려 있다. 조가비의 겉면은 ..
석구(石狗, Dog Statues) - 낙안읍성(樂安邑城) 낙안읍성(樂安邑城)의 동문, 낙풍루(樂豊樓) 낙안읍성의 동문인 낙풍루(樂豊樓)는 1834년(순조4) 성균관 진사 김호언이 사비 1,400량을 들여 중건하였다고 전하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문루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일..
부여 임천대교비(扶餘 林川大橋碑) 건립연대: 1510~1512(조선 중종) 전체높이: 195m 부여 임천 대교비는 임천면 만사리 논에 묻혀 있던 것을 만사리 마을로 이전한 것으로 마을에서는 오랫동안 어떤 이유에서인지 개(犬)의 충절(忠節)을 기린 비로 인식해왔다. 비는 마을 진입로 확포장 공사 과..
호암산 석구상(虎巖山 石狗像)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산93-2번지에 위치해 있는 석구상(石狗像)은 해태상(海苔像)으로 전해져 왔으나. 이곳으로부터 남서쪽 50m 지점의 한우물 조사 발굴 때 조선시대 쌓은 석축에서 석구지(石狗池)라 음각(陰刻)된 장대석이 나왔고, 또 시흥읍지(始興邑..
마니산 참성단(摩尼山 塹城壇)에 오른 견공(犬公) 지난 해에 이어 올 겨울에도 강화도 마니산(摩尼山)을 찾았는데, 그 날 따라 북풍한설이 몰아치며 싸락눈이 내렸다. 그런데 마니산(摩尼山) 정상에 오르니 견공(犬公)이 등산객을 반가이 맞으며, 이리 저리 돌아 나니며 등산객이 주는 음식물을 받아 먹..
강원도 강릉시 등명낙가사(燈明洛伽寺) 5층석탑앞에서 부처님 오신날에 누렁이 한마리가 오수를 즐기고 있다..
치악산 상원사에 가면 아주 온순한 골든리트리버(Golden Retriever) 종의 개가 있다. 골든 리트리버는 유쾌하고 사람에게 붙임성이 있어 주인을 잘 따른다. 하지만 가끔씩 등산객을 쫓아가거나 상원사를 벗어나는 일이 종종 있다고한다. 그래서 등산로에 개(골든리트리버)가 따라오거나 쫓아오면 연락을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