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충신 죽죽비(新羅忠臣 竹竹碑)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신라충신 죽죽지비(新羅忠臣 竹竹之碑) 이 비의 비문은 합천 출신으로 진주 목사를 지낸 한강 정구의 제자인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가 지었고 1644년(인조 22년) 합천군수 조희인(曺希仁)이 세운 것이다. 죽죽(竹竹)은 삼..
거창 향교(居昌 鄕校)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0호 향교는 유교의 옛 성현(聖賢)을 받들면서, 지역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 목적으로 설립된 전통시대의 지방교육기관이다. 거창향교는 1415(태종 15)년에 대성전(大成殿)이 건립된 이후, 1574(선조 7)년에 명륜당(明倫堂)..
구연서원 관수루(龜淵書院 觀水樓)관수루(觀水樓)는 요수 신권(樂水 愼權), 석곡 성팽년(石谷 成彭年), 황고 신수이(黃皐 愼守彛) 선생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사림이 세운 구연서원의 문루로 1740년(영조 16년)에 건립하였다.관수(觀水)란 「맹자(孟子)」에 ‘물을 보는데(觀水) 방법이 있..
합천군수 이증영유애비(陜川郡守 李增榮遺愛碑) 남명 조식선생이 짓고 고산 황기로가 쓴 이 비는 합천군수를 역임했던 이증영이 극심한 흉년에 백성을 구휼하고 청렴하게 관직생활을 했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비석의 크기는 가로 87㎝, 세로 202㎝, 두께는 17㎝이다. 비문의 글씨체는 해..
해인사 정중삼층석탑(海印寺 庭中三層石塔) 대한불교 조계종 해인사(海印寺) 대적광전(大寂光殿) 앞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높이 6m 이다. 일명 정중탑(庭中塔)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석탑이 사찰 안 넓은 마당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유래된 명칭으로 보인다. 본래는 상하 2..
해인사(海印寺)의 중심법당, "대적광전(大寂光殿)"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번지에 위치한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 보관되어 있는 가야산 해인사(伽倻山 海印寺)는 통일신라 애장왕(哀莊王, 신라 제40대 왕) 3년(802)에 지어졌다. 해인사를 품고 있는 웅장하면서도 아름다운 산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