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단비(奬忠壇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호 이 비는 1900년(광무 4년) 서울시 장충동에 건립된 장충단비(奬忠壇碑)로 민영환(閔泳煥)이 비문을 지었고 글씨를 썼다. 장충단은 조선 고종 32년(1895년)에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일본인을 물리치다 순사한 홍계훈(洪啓薰), 이경직..
황제(皇帝)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 환구단(圜丘壇. 사적 제157호) 환구단(圜丘壇)은 황제(皇帝)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으로, 황단(皇壇) 또는 원구단(圜丘壇, 圓丘壇), 환단(圜壇), 원단(圓壇)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제천행사는 농경문화의 형성과 함께 시작된 것..
석고(石鼓, 돌북) 삼형제(三兄弟) 석고(石鼓, 돌북)는 광무 6년(光武, 1902년) 고종황제(高宗皇帝) 즉위 40주년을 기념하여 세운 기념물 3개의 돌북(石鼓)은 하늘에 제사를 드릴 때 악기(樂器)를 형상화 한 것으로 몸통에 화려한 용무늬가 새겨져있다. 이 용무늬는 조선조 말기의 조각을 이해하..
덕수궁 석조전(德壽宮 石造殿) 덕수궁 석조전은 기본설계는 영국인 G.D.하딩, 내부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하였으며, 1900년(광무 4)에 착공하여 1910년(융희 3)에 완공되었다. 3층 석조건물로 정면 54.2m, 측면 31m이며, 1층은 거실, 2층은 접견실 및 홀, 3층은 황제와 황후의 침실·거실·욕실 등으..
조선 후기 마지막 침전(寢殿),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은 고종 황제가 거처하던 생활공간(침전,寢殿)이다. 1897년(고종 34)에 지었는데 1904년(광무 8) 수리 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 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순종 황제에게 왕위..
한국최초의 감리교회, 기독교 대한감리회 정동제일교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2번지에 위치한 기독교 대한감리회 정동교회(貞洞敎會)는 고종 광무 2년(1898년) 대한제국시대에 지어진 한국 최초의 감리교회다.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서양식 교회로, 1926년 건물 양쪽을 증축하였는데 현..
노인들의 놀이터는 "탑골공원 팔각정"이 단연 최고!! 서울 종로구 종로 2가 38~1번지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공원인 탑골공원은 조선말 고종 임금 당시에 총세무사(總稅務司)로 있던 영국인 브라운(John Mcleavy Brown, 栢卓安)이 1895년(또는 1896년) 이 곳을 도시공원으로 만들 것을 건의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