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황제의 생활공간,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 - 보물 제820호 함녕전은 고종 황제가 거처하던 임금님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당시 함녕전의 온돌을 수리하고 이를 말리..
선조임금이 승하한 유서깊은 건물, 덕수궁 석어당(德壽宮 昔御堂) 덕수궁의 중화전 뒤 동북쪽 방향에 있는 1층은 정면 8칸, 측면 3칸, 2층은 정면 6칸, 측면 1칸의 굴도리집 목조 건물이다. 임진왜란으로 의주까지 피난 갔던 선조(宣祖)가 환도해 1593년부터 임시 어소(時御所,시어소)로 사용..
궁궐 지붕 위의 아름다움, 잡상(雜像) 한국의 전통 건축에서는 곳곳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 조각들을 만날 수 있다. 이런 조각들 가운데 지붕 위 네 귀퉁이에 한 줄로 늘어선 것들을 잡상(雜像) 또는 상와(像瓦)라고 한다. 특히 조선시대 조정에서는 기와를 만드는 장인외에 특별히 잡상만..
영조(英祖)의 어진(御眞)을 보관하던 곳, 경희궁 태령전(慶熙宮 泰寧殿) 태령전은 영조(英祖)의 어진(御眞)을 보관하던 곳이다. 이 건물은 본래는 특별한 용도가 지정되지는 않았던 건물이었다. 그러나 영조의 어진이 새로 그려지자 1744년(영조 20년)에 이 곳을 중수하여 어진을 봉안하였고..
창덕궁 돈화문(昌德宮 敦化門) 돈화문(敦化門)은 오대궁(五大宮)의 하나인 창덕궁(昌德宮)의 정문으로 정면5간 측면2간의 누문(樓門)이다. 원래 석단(石壇) 위에 세워져 있었으나 도로 포장공사 때문에 주춧돌 이하는 파묻혀 버렸다.중앙의 3간은 가운데 주열(柱列)에 각각 2짝씩 문비(門扉)..
수도권 최고의 전통 한옥 한정식 '한채당(韓彩堂)'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324-2 미사리 조정경기장 입구에 자리잡은 한채당(韓彩堂)은 우리의 전통 한옥에서 전통 한식을 즐길 수 있는 대표 고급 한정식 명소다. 한채당이 가진 의미는 ‘한국 고유의 멋색과 맛색을 입힌 집’이라는 뜻으로 ..
궁궐같은 인스부르크의 "성야곱성당(DOM ST.JAKOB)"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의 성야곱성당(궁궐교회)는 궁전 맞은 편에 있는 곳으로 1555-65년 페르디난드 일세 집권때 건축된 성당이다. 황제 막스밀리언 1세의 거대한 석관이 있는데 그의 성야를 담은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다. 1558년 에브토르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