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임진왜란 이전의 기록은 모두 소실되어 ‘삼국유사’나 ‘삼국사기’ 등을 인용하여 사적기(事蹟記)가 만들어졌는데, 금산사의 창건은 599년(백제 법왕 1)에 왕의 자복(自福)사찰로 세워진 것이라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지금까지 전하는 바는 진표(眞表)가 7..
금산사 미륵전(金山寺 彌勒殿) 모악산에 자리한 금산사는 백제 법왕 2년(600)에 지은 절로 신라 혜공왕 2년(766)에 진표율사가 다시 지었다. 미륵전은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조선 인조 13년(1635)에 다시 지은 뒤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거대한 미륵존불을 모신 법당으로..
금산사(金山寺) 방등계단(方等戒壇) 사리탑(舍利塔) 송대(松臺)라고 부르는 미륵전의 북쪽 높은 대지에 방등계단(方等戒壇)이 있다. 또한 이 계단의 중앙에 보물 제26호인 부도가 1기 있어 그 형태에 따라 석종형(石鐘形) 부도라고 부른다. 방등계단의 수계법회(受戒法會)를 거행할 때 수계..
금산사 대적광전(金山寺 大寂光殿) 대적광전은 연화장세계의 주인인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으로 건립하며, '화엄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하여 '화엄전',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고 해서 '비로전'이라고도 부른다...
금산사 명부전(金山寺 冥府殿) 명부전은 저승의 유명계를 사찰 속으로 옮겨 놓은 전각이다. 이 전각 안에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이라고도 하고, 유명계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시왕전이라고도 한다. 명부전은 앞면과 옆면 각 3칸씩 맞배지붕 건..
금산사 조사전(金山寺 祖師殿) 금산사(金山寺) 조사전(祖師殿)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98년에 건립하였다. 금산사(金山寺)의 역대 조사(祖師)나 그 종파의 조사스님, 대덕스님, 사찰의 창건주, 역대 주지스님 등 해당사찰과 관련하여 후세에 존경받는 스님들의 영정(影幀)..
금산사 적멸보궁(金山寺 寂滅寶宮) 이 법당(法堂)은 방등계단(方等戒壇)에 참배(參拜)하기 위하여 특별히 건립된 방등계단 예배전(禮拜殿)이다. 원래 나한전(羅漢殿)으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제화가라보살(提和竭羅菩薩), 미륵보살(彌勒菩薩), 그리고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제자(..
김홍섭선생 추모비(金洪燮先生 追慕碑) 한국의 청렴한 법관 김홍섭(金洪燮, 1915~1965)은1915년 8월 28일 전북 김제군(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에서 태어났다.아버지 김재운ㆍ어머니 강재순씨 사이 외아들이다.평범한 농부의 아들로 자라 원평보통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독학으로 중학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