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산사(金山寺) 방등계단(方等戒壇) 사리탑(舍利塔)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4. 11. 1. 04:30
금산사(金山寺) 방등계단(方等戒壇) 사리탑(舍利塔)
송대(松臺)라고 부르는 미륵전의 북쪽 높은 대지에 방등계단(方等戒壇)이 있다.
또한 이 계단의 중앙에 보물 제26호인 부도가 1기 있어 그 형태에 따라 석종형(石鐘形) 부도라고 부른다.
방등계단의 수계법회(受戒法會)를 거행할 때 수계단을 중앙에 마련하고,
그 주위에 삼사(三師)와 칠증(七證)이 둘러앉아서 계법을 전수하는데 사용했던 일종의 의식법회 장소이다.
이러한 예는 경상남도 양산의 통도사 와 개성의 불일사(佛日寺) 등지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한국 불교의 독특한 유산이다.
불교의 정신을 대표하는 계(戒).정(定).혜(慧) 삼학(三學) 가운데 계는 으뜸으로서 계를 지킴은 불교의 기본 토대가 된다.
이 계의 정신이 일체에 평등하게 미친다는 의미에서 방등계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한편 방등계단의 성격을 도솔천(兜率天)의 세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즉 미륵신앙의 근본도량인 금산사에는 미륵의 하생처로서 미륵전을 조성하고,
그 위에 도솔천을 구현하여 미륵상생신앙을 나타냈다는 말이다.
결국 금산사는 미륵상생신앙과 하생신앙을 조화롭게 겸비하였다는 신앙적 성격을 지녔다는 뜻이 된다.
조선조 생육신의 한 사람이었던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절을 찾아 이곳 방등계단에서 남긴 시가 한 수 전한다.
2303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충사 충무공 고택(顯忠祠 忠武公 古宅) (0) 2014.11.03 금산사 미륵전(金山寺 彌勒殿) (0) 2014.11.01 가장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修德寺 大雄殿) (0) 2014.10.31 봉은사 판전 현판(奉恩寺 板殿 懸板) (0) 2014.10.23 김제 금산사 석등(金堤 金山寺 石燈) (0) 201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