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修德寺 大雄殿)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4. 10. 31. 05:00
가장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修德寺 大雄殿)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2길 79, 수덕사(사천리)에 위치한 대웅전(大雄殿)은
고려시대인 1308년(충렬왕 34)에 조성된 건물로서, 연대가확실하고 조형미가 뛰어나다.
1937년에서 1940년 사이 해체수리를 하면서 “至大元年戌申四月十七日立柱”라고 쓴
먹글씨가 발견되어 정확한 건축연대를 알게 되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기둥의 중간부분이 부풀려진 배흘림기둥 위에만 공포가 올려진 주심포(柱心包) 계통의 건물이다.
간단한 공포 구조와 측면에 보이는 부재들의 아름다운 곡선은
대웅전의 건축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데,
특히 소꼬리 모양의 우미량(牛尾樑)은 그 가운데서도 백미로 꼽을 수 있다.
안에는 천장을 가설하지 않은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고,
과거에는 바닥에 전돌이 깔렸으나 현재는 우물마루가 깔려 있다.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가구에 새로 단청을 입히지 않아
나무가 간직하고 있는 세월의 흔적이 그대로 느껴지는 수덕사 대웅전은
건물의 기능미와 조형미가 잘 조화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특히 측면 맞배지붕의 선과 노출된 목부재가 만들어내는 구도는 목조 건축의 극치라고 할만하다.
이러한 조형미와 역사적 가치로 인하여 국보로 지정된 대웅전은 현존하는 건물 중
백제적 곡선을 보여주는 유일한 목조 건축물인 것이다.
대웅전 안에는 삼불상과 후불탱 등이 봉안되어 있다.
한국 목조 건축물의 백미라 일컫어지는 수덕사 대웅전은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수덕사 대웅전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2299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사 미륵전(金山寺 彌勒殿) (0) 2014.11.01 금산사(金山寺) 방등계단(方等戒壇) 사리탑(舍利塔) (0) 2014.11.01 봉은사 판전 현판(奉恩寺 板殿 懸板) (0) 2014.10.23 김제 금산사 석등(金堤 金山寺 石燈) (0) 2014.10.20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金堤 金山寺 五層石塔) (0) 201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