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1795년(정조 19) 윤 2월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홍씨를 모시고 수원에 행차한 8일간의 전 과정을 총정리하여 10권 8책으로 간행한 책이다. 1795년 8월에 편집을 완료하고 금속활자인 정리자(整理字)를 주조하여 1797년 3..
화성행궁 낙남헌(華城行宮 落南軒) 낙남헌은 일제강점기에 화성행궁이 철거될 당시 훼손당하지 않고 남아있는 건축물중 하나다. 낙남헌이란 이름은 후한의 광무제가 낙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궁궐 이름을 '남궁(南宮)'이라 한 것에서 따온 것으로 1794년(정조 18)에 완공되었다. 1795년(정조 1..
화성행궁 노래당(華城行宮 老來堂) 화성행궁 노래당(華城行宮 老來堂) 노래당은 정조가 왕위에서 물러나 노후생활을 꿈꾸며 지었다는 건물로 낙남헌(落南軒)과 득중정(得中亭)에서 펼쳐지는 여러 행사 도중 휴식을 취하는 데 사용하였다. 화성 행궁의 정당인 봉수당에서 오른쪽으로 돌아..
조선시대 무과 선발시험, 백동수의 무과 재현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셨던 정조대왕께서 군사 요새 수원화성 주변 백성들을 지키기 위해 수원지역 무사들을 등용하고자 거행했던 박진감 넘치는 무과 선발시험을 제53회 수원화성문화제를 맞이하여 2016년 10월 7일~ 9일까지 화성행궁 낙남헌..
의궤가 살아있다, 낙성연도 편(2016, 수원화성 기획공연) 의궤가 살아있다, 낙성연도 편 220년 전 조선시대 정조 재위기간에 화성행궁(華城行宮) 낙남헌(落南軒)에서 수원화성 축성이 마무리 된 후 완공 축하 기념식(1796년 10월 16일)을 그린 낙성연도를 재현했다. 기존에 ‘화성성역의궤(華城..
정조대왕친림 무과과거시험(正祖大王親臨 武科科擧試驗)-수원화성문화제 제52회 수원화성문화제를 맞이하여 화성행궁 낙남헌에서 정조대왕친림 무과시험 재현행사를 진행하였다. 친림과거(무과) 행사는 1795년 정조대왕이 수원지역 선비들과 무사들을 등용하고자 거행했던 과거시험 중 ..
수원화성문화제 낙성연(水原華城文化祭 落成宴) 제52회 수원화성문화제를 맞이하여 수원화성의 축성을 기념하는 낙성연(落成宴)이 수원화성행궁 낙남헌(洛南軒)에서 개최되었다. 낙성연(落成宴) 건축물의 낙성을 축하하는 잔치로 화성 축성기념 낙성연은 1796년 10월 16일 3년간의 화성 축..
화성행궁 낙남헌(華城行宮 洛南軒) 조선 정조18년(1794년)∼20년(1796년) 사이에 수원화성 성곽을 축성하고 팔달산 동편에 화성행궁을 건립하고,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여 선왕의 원침에 자주 전배하고 화성행궁에 머물렀다. 낙남헌은 정당은 7량 14.5칸의 규모로, 기단은 벽돌을 돌을 섞어 쌓..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