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효월드 뿌리공원
-
통천김씨(通川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9. 04:06
작품명 : 마의(麻衣)의 고혼(孤魂) 조각가 : 김준만 작품 설명 : 이 작품은 불꽃과 족자로 조형되었다. 불꽃은 마의태자의 구국정신을 표상하고 족자는 후손들의 사적을 상징한다. 이 두 조형을 통하여 구국을 염원했던 마의태자의 정신과 고단한 시련 속에서도 연면히 이어 온 한 성씨의 가통을 만날 수 있다. 통천김씨(通川金氏)의 유래(由來) 고려 우왕 6, 서기 1380년에 기록된 중랑장공외가호구입안(中郞將公外家戶口立案)을 근거로 1701년에 발간된 통천김씨 족보 초간본에 통천김씨의 시조는 마의태자(麻衣太子)의 아들 통천군 교(較)로 기록된다. 묘는 강원도 통천군 통천읍 동봉곡(洞鳳谷)에 모셔 있고, 사당은 통천군 통천읍 감당면(甘棠面) 내동(內洞)에 모셔 있다. 후손들은 강원도 통천 일대에 세거하면서 이청..
-
공주공산이씨(公州公山李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8. 04:08
공주이씨(公州李氏), 공산이씨(公山李氏) 작품명 : 繁榮(번영) 조각가 : 안의종 작품 설명 : 유래에서 보듯이 시조부터 文武(문무)를 겸비하여 어떠한 어려움이나 소요를 평온하게 진정시키는 능력 있는 힘찬 모습이었으므로, 왼쪽은 文(문)의 상징인 책 모양이며 충·효·예의 기상을 세 줄로 표현하고, 오른쪽은 武(무)의 상징인 무기로 화살모양을 단순화하였고, 앞부분의 사각은 방패를 표현하여 조화를 이루는 두 기둥은 강력한 문무의 기상이며 밑 부분과 유래 비문 원판은 안정과 화합의 근원으로 조형의 미를 갖추어 평화와 안녕을 이루는 繁榮(번영)의 모습이다. 공주이씨(公州李氏), 공산이씨(公山李氏) 문중 유래 公州(公山)李氏 시조 휘(諱) 천일(天一)은 신라조 박혁거세 왕 5년에 18세 때 아우 홍일(弘一)과 문..
-
강릉김씨(江陵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7. 04:03
강릉김씨(江陵金氏)의 뿌리 강릉김씨의 시조는 명주군왕(溟州郡王) 휘(諱) 주원(周元)이시다. 창성 시조는 신라 석탈해왕 때 대보(大輔 국무총리) 알지(閼智)이며 11세손인 제22대 지증왕의 장자는 법흥왕이고, 차자 입종(立宗)은 태종 무열왕계가 되고, 삼자 진종(眞宗)은 원성왕계가 되었다. 입종의 5세손인 제29대 태종 무열대왕(太宗 武烈大王) 춘추(春秋)의 삼자 문왕(文王 천순대왕)은 고초이시고, 증조는 대충(大忠)으로 시중(侍中 국무총리)이며 조부 사인(思仁)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3대에 시중과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하고 부친 무월랑(無月郞) 유정(惟靖)은 경덕왕(景德王) 조의 시중이었으며, 화랑도 시절에 명주의 관원으로 연화부인(蓮花夫人) 박씨와 신어(神魚)의 연으로 혼인하여 장자 주원과 차자..
-
경주정씨(慶州鄭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6. 04:11
작품명 : 태동(胎動) 조각가 : 김종필 경주정씨 유래(慶州鄭氏 由來) 경주정씨는 우리나라 정씨(鄭氏)의 대종(大宗)으로서 가장 오랜 유래를 지닌 씨족의 하나로 신라(新羅)를 구성한 진한국 사노(斯盧) 6촌 중의 하나인 자산 진지촌(본피부, 本彼部) 촌장인 지백호공(智伯虎公, 신라 좌명공신)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서기전 117년(한무제 원수 6) 경주 화산(花山)에 강림하여 부족 국가이던 사로의 여섯 고을 중 자산 진지촌을 다스렸으며, 그 뒤 서기전 69년 3월 초하루 다른 다섯 촌장과 함께 자제들을 거느리고 알천(閼川) 언덕 위에 모여 임금을 세울 것을 논의하다가 이때 나정(蘿井) 곁에서 난생아(卵生兒)인 혁거세(赫居世)를 얻어 거슬감(居瑟邯) 또는 거서간(居西干)으로 추대하고 서기전 57년 그를 왕..
-
제주고씨(濟州高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5. 04:13
고씨의 유래(高氏의 由來) 고씨는 제주도 고, 량, 부(高, 良, 夫) 삼성(三姓) 신화와 탐라왕국의 시조 고을나왕(高乙那王)의 역사가 있으니 자랑스러운 왕손(王孫)이다. 고씨 왕세기(王世紀)는 당요갑자(唐堯甲子)에 탐라국이 건국되어 제45대 고자견왕(高自堅王)까지 왕치(王治) 시대를 통치하고, 고려(太祖 21年)에 병합됨에 제46대 왕자 고말로공(高末老公)이 초대 성주(星主)로 작위(爵位)를 받고 탐라 민정을 조선 태종(朝鮮 太宗 2年) 때 제17대 성주 고봉례공(高鳳禮公)까지 다스렸다. 이처럼 고씨는 상고시대부터 유구한 전통의 기반 위에 고을나왕 제46세(世) 고말로공(高末老公)을 중시조(中始祖)로 모시고 아홉 계파의 관향(寬鄕)으로 분파(分派)되고 있는데 각 파조(派祖)님의 역사적 인물을 조감해 볼..
-
평해구씨(平海丘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4. 04:08
평해구씨 유래(平海丘氏 由來) 한국의 평해구씨(平海丘氏)는 평해(平海) 단일본(單一本)으로 구대림(丘大林) 장군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그 뿌리는 세계구씨 대시조(世界丘氏 大始祖)인 구목공(丘穆公)으로부터 출발한 매우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성씨(姓氏)이다. 구목공은 고대 중국 제(齊)나라 때인 기원전 1211년부터 1072년까지 139년간 장수하였을뿐 아니라 전설적인 인물로 추앙(推仰)을 받는 강태공(姜太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제(齊) 나라의 군사(軍事) 및 정치(政治)의 최고 책임자로 강태공을 도와 많은 업적을 남겼고, 제나라의 수도인 영구(營丘)의 구(丘) 자로 성씨를 삼고 일가를 창설(創設)하여 세계 각국의 구씨 종친(丘氏 宗親)들이 구목공을 대시조로 모시고 있다. 한국의 평해구..
-
교하노씨(交河盧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3. 04:04
교하노씨 유래(交河盧氏 由來) 교하노씨(交河盧氏)의 본관인 교하(交河)는 경기도 파주시에 속한 교하읍이다. 신라 때 교하군이었는데 파주시로 통합되었고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곳을 따라 교하(交河)라 일컬어 왔다. 당나라 한림학사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 한림학사 노오(盧塢)가 팔학사의 한 분으로 통일신라에 오자 국빈(國賓)의 예로 교하백에 봉백되어 교하노씨가 발원하였다. 기세조 노강필(盧康弼)은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국 창건에 공헌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어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오르니 시호는 삼한공(三韓公)이다. 개성 신흥사 공신당(功臣堂)에 삼한 공신 54인을 도화(圖畫)하여 모셨으며 경기도 파주 고려대전에 공양왕비 순비노씨와 함께 위패 봉안하였다. 수대에 이르러 고려조 증 문하시중 의열공(懿烈..
-
진원박씨(珍原朴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1. 22. 04:07
진원박씨 유래(珍原朴氏 由來) 진원박씨는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朴赫居世) 후손으로 고려 명종 때 대장군(大將軍) 진문(進文)이 시조이며, 세거지는 진원현(珍原縣)인데 지금의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이다. 역대 인물 중 고려조에 효대(孝大)는 대상(大相)이었고, 빈(贇)은 검교장군, 성량(成亮)은 판군기감이었으며, 첨(瞻)은 문하시중, 익양백군(益暘郡伯)으로 충의(忠義)의 시호를 받았고 홍서(洪瑞)는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조선조에 온(溫)은 구례 감무였고, 태종 1년 희중(熙中)은 문과에 급제하여 동궁(東宮:世宗)의 서연관(書筵官)을 거쳐, 일본과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와 예문관 직제학과 남원부사를 지냈으며, 해동필원(海東筆苑)에 등재되고, 청백전가(淸白傳家)의 가훈을 남기고 학림(鶴林)서원에 배향되었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