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 사적 제10호 서울 한양도성은 서울의 주위를 에어 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都城)으로, 도성의 둘레는 약 18㎞이다. 흥인지문과 숭례문 등의 성문과 암문(暗門), 수문(水門), 여장(女墻), 옹성(甕城) 등에 방어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양도..
흥인지문(興仁之門) - 보물 제1호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서울의 숭례문과 더불어 규모가 큰 성문이다. 특히 사대문 중 유일하게 옹성(甕城)을 갖추고 있다. 옹성이란 ‘철옹산성(鐵甕山城)’의 준말이다. 옹성은 적을 막기 위해 성문 밖에 일정한 높이의 옹벽을 친 것이다. 특히 흥인지문은..
이간수문(二間水門) 이간수문(二間水門) 이간수문(二間水門)은 오간수문(五間水門) 남쪽에 낸 두 칸짜리 수문이다. 남산에서 흘러내리다가 도성 밖에서 개천 본류와 합류하는 물길을 위해 낸 문으로 오간수문과 같은 모양으로 축조되었다. 1925년 경성운동장을 건설할 때 수문의 석재를 스..
서울성곽(서울城廓) 이 성곽은 1396년(태조5년)에 쌓아서 만든 것으로, 조선시대의 수도인 한양을 에워싼 도성(都城)이다. 1422년(세종4년)에 흙으로 쌓은 부분을 모두 돌로 바꾸고 여장(女墻)을 쌓아 성벽을 더 높게 만드는 보수공사를 하였다. 1704년(숙종30년)에는 취약한 부분을 튼튼하게 고..
서울 흥인지문(興仁之門) 서울 성곽은 옛날 중요한 국가시설이 있는 한성부(漢城府)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도성(都城)으로,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성곽 8개의 문 가운데 동쪽에 있는 문이다. 흔히 동대문(東大門)이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가 단종 원년(1453)에 고..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