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臥佛), 운주사 와형 석조여래불(雲住寺 臥形 石造如來佛)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臥佛)이다. 이는 열반상(涅槃像, 부처님이 옆으로 비스듬이 누운 상)과는 다르게 좌불(앉은 모습)과 입상(선 모습)으로 자연석 위에 조각된 채로 누워..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和順 雲住寺 七星岩 앞 七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대한불교조계종 운주사 서편 산능선 자락에는 일곱개의 원반형 바위가 있다. 아마도 원반형 칠층석탑을 세우려고 했을 것이라는 추측과 함께하늘의 북두칠성을 표현 제작 했다는 설..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불감(佛龕)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그 규모가 작다. 다탑봉 골짜기에 자리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 예이다.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산의 정상에..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운주사에는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도선국사가 우리나라의 지형을 배로 보아 배 한복판에 해당하는 호남 땅이 영남 땅보다 산이 적어 배가 한쪽으로 기울 것을 염려하여 1000개의 불상과 1000개의 탑..
천불천탑(千佛千塔)은 어디로 갔을까? 영구산 운주사(靈龜山 雲住寺) 천불산 다탑봉 운주사는 천불천탑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불교의 깊은 혼이 서린 운주사는 우리나라의 여느 사찰에서는 발견 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불사를 한 불가사의한 신비를 간직하고 있다. 1481년..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和順 雲住寺 거북바위 五層石塔)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용강리 산8) 대한불교조계종 운주사에 위치한 이 탑은 거북바위라고 불리어지는 큰 암반 위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이탑의 양식은 같은 암반 위에 서 있는 칠층석탑과는 달리 신라 전형양식..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앞 七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용강리) 대한불교조계종 운주사 경내 석조불감(보물 제797호)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석탑은 다른 석탑의 석괴형의 큰 방형의 지대석을 설치한 것과는 달리 아주 낮은 지대석 위..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 칠층석탑 (和順 雲住寺 龜岩交叉紋 七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에 위치한 운주사(雲住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의 말사로 운주사 경내에는 거북바위라 부르는 다소 경사진 암반을 완만하게 다듬어 지대석으로 삼고 그 위에 탑..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