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臥佛), 운주사 와형 석조여래불(雲住寺 臥形 石造如來佛)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3. 12. 19. 06:00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臥佛),
운주사 와형 석조여래불(雲住寺 臥形 石造如來佛)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臥佛)이다.
이는 열반상(涅槃像, 부처님이 옆으로 비스듬이 누운 상)과는 다르게
좌불(앉은 모습)과 입상(선 모습)으로 자연석 위에 조각된 채로 누워있다.
이렇게 좌불과 입상의 형태로 누워있는 부처님은 세계에서 하나뿐이라는 것이다.
이 부처님은 좌불 12.7m, 입상 10.26m의 대단히 큰 불상이다.
나침반을 갖다대면 거의 정확히 남북으로 향하고 있어 2000번째 부처님이 일어나면
곤륜산(崑崙山)의 정기를 이 민족이 받아 새로운 세상이 열리고 지상 최대의 나라가 된다는 전설이 전해져 온다.
운주사의 좌불은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고, 옆에 입상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다.
그리고 이 두 분을 지키는 듯 아래 서있는 노사나불(盧舍那佛, 머슴부처, 시위불, 상좌불)도
옆에서 떼어내 세운 것이 분명하다.
그러기에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한 삼불 신앙의 형태로서 떼어서
어딘가에 세우려 했던 것인데 과연 어디다 세우려 했을까에 대한 의문과 더불어 역사의 기록에서
이런 대단위 불사가 사라진 까닭을 생각해 보면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용강리) 운주사에 위치한 와형 석조여래불은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273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1386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서울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0) 2013.12.26 영은문 주초(迎恩門 柱礎) (0) 2013.12.25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和順 雲住寺 七星岩 앞 七層石塔) (0) 2013.12.19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0) 2013.12.19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 (0) 2013.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