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3. 12. 19. 05:00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불감(佛龕)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그 규모가 작다.
다탑봉 골짜기에 자리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 예이다.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산의 정상에 이르는 동안 여러 기의 석탑과 불상을 볼 수 있다.
감실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양쪽 벽을 판돌로 막아두고 앞뒤를 통하게 하였다.
그 위는 목조 건축의 모양을 본떠 옆에서 보아 여덟팔(八)자모양인 팔작지붕처럼 다듬은 돌을 얹어놓았다.
감실 안에는 2구의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특이하게도 등이 서로 맞붙은 모습으로 흔히 볼 수 없는 예이다.
불상을 새긴 수법은 그리 정교하지 않지만, 고려시대에 들어 나타난 지방적인 특징이 잘 묻어나온다.
이처럼 거대한 석조불감을 만든 유례를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등을 서로 맞댄 감실 안의 두 불상 역시 특이한 형식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에 위치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1984년 11월 30일 보물 제797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臥佛), 운주사 와형 석조여래불(雲住寺 臥形 石造如來佛) (0) 2013.12.19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和順 雲住寺 七星岩 앞 七層石塔) (0) 2013.12.19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 (0) 2013.12.18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0) 2013.12.18 나주목(羅州牧)의 객사(客舍) '금성관(錦城館)' (0) 2013.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