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和順 雲住寺 九層石塔)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3. 12. 18. 04:30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운주사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아래층 기단을 삼고 그 위로 윗층 기단을 쌓은 후
9층에 이르는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윗층 기단의 가운데돌은 4장의 널돌로 짜였으며,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긴 후
다시 면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굵게 새겨 면을 둘로 나누어 놓았다.
또한 기단의 맨 윗돌은 탑신의 1층 지붕돌로 대신하고 있는 점이 특이한데,
운주사의 모든 탑이 이러하여 고려시대로 오면서 나타난 특징으로 보인다.
탑신의 각 몸돌에는 면마다 2중으로 마름모꼴을 새기고, 그 안에 꽃무늬를 두었는데,
이러한 수법은 운주사의 석탑에서만 볼 수 있다.
각 지붕돌은 밑면이 약간 치켜올려져 있고, 여러 겹의 빗살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꼭대기에는 원기둥모양으로 다듬은 돌과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이 올려져 머리장식을 이루고 있다.
탑의 면이 사각형인 것은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탑들과 같으나,
지붕돌 밑면에 받침을 생략한 모습이나 각 면에 새긴 장식이 일반형에서 벗어난 모습들은 보기 드문 예이다.
이는 지방적인 색채가 뚜렷했던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운주사의 여러 탑 가운데 높이가 가장 높은 것으로,
원래 지방유형문화재 제8호였다가 1984년 보물 제796호로 지정되었다.
넓은 자연석을 놓아 하층 지대석(地臺石) 겸 기단석(基壇石)을 조성하고
그 위에 상층기단 받침을 3단으로 새겨 만든 후 상층기단과 탑신(塔身)을 올려 놓아 9층의 석탑을 이루었다.
그런데 1층 탑신을 제외한 각층의 탑신 4면에는 안상형식(眼象形式)을 따른 듯
능형(菱形)의 구획을 양각(陽刻)하고 그 안에 십자형(十字形) 화문(花紋)을 조각(彫刻)하여 장식하였다.
각층의 옥개석(屋蓋石) 밑면에는 사선(死線)의 문양(紋樣)을 양각하였다.
탑의 조성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후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0) 2013.12.19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 (0) 2013.12.18 나주목(羅州牧)의 객사(客舍) '금성관(錦城館)' (0) 2013.12.17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和順 雲住寺 거북바위 五層石塔) (0) 2013.12.16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앞 七層石塔) (0) 201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