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종,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 국보 제36호 동정각(動靜閣) ‘梵鐘閣(범종각)이 아닌 초서로 “動靜閣(동정각)”이라 쓴 현판이 붙어 있는데, 동정각 편액은 탄허(呑虛) 스님의 글씨이다. 탄허 스님은 일생을 거의 상원사에서 보내신 분이다. 스승인 한암 스님과의..
남한산성 종각의 천흥사동종(南漢山城 鐘閣 天興寺銅鐘) 남한산성 종각의 천흥사동종(南漢山城 鐘閣 天興寺銅鐘) 남한산성 종각의 천흥사 동종은 높이 170cm, 입지름 100cm로 몸체에 새겨진 명문 ‘聖居山 天興寺鐘銘統和二十八年庚戌二月日(성거산천흥사종명통화28년경술2월일)’에 따르..
봉선사 대종(奉先寺 大鐘) - 보물 제397호 봉선사 대종(奉先寺 大鐘) - 보물 제397호 이 종은 임진왜란 이전에 만들어진 몇 안되는 조선 전기의 동종으로 예종 원년(1469)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봉선사를 건립할 때 함께 만들어졌다. 이 종은 음통(音筒)없이 두 마리의 용(雙龍)이 용뉴를 만..
의왕 청계사 동종(보물 제11-7호) 이 종은 원래 청계사에서 만든 것이지만, 서울 봉은사에 이전되었다가 근래에 다시 제 위치로 돌아왔다. 승려인 사인(思印)이 60세 이후 명간(明侃), 계일(戒日), 여석(餘釋), 수강(首剛), 귀성(貴性), 임선(任善) 등과 함께 제작한 종으로 전통적인 특징보다는..
내장사 소장 조선 동종(內藏寺 所藏 朝鮮 銅鐘) 청동(靑銅)으로 만든 이 종은 내장사(內藏寺)를 다시 세우면서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에서 옮겨 왔다. 높이 80Cm, 종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소형 종이지만, 조선후기 범종(梵鐘)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동산리)의 상원사 동종(上院寺銅鍾)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으로, 한국 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리종으로 통일신라 시대인 725년(성덕왕 24년)에 주조되었으며, 높이는 1.67m이고 입지름은 약 0.91m이다.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