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 국보 제44호 - 보림사 대적광전(寶林寺 大寂光殿) 앞에 위치한 삼층석탑과 석등 북 삼층석탑(北 三層石塔) 석등(石燈) 남 삼층석탑(南 三層石塔)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
각원사(覺願寺) 대웅보전(大雄寶殿) 각원사(覺願寺) 대웅보전(大雄寶殿) 대웅(大雄)이란 뜻은 위대한 영웅, 곧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을 의미하는 말이다. 또, 부처님께서는 중생으로서는 가질 수 없는 큰 힘이 있어서 마군의 장애를 극복하고 부처님이 되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
대흥사 천불전(大興寺 大興寺) - 전남유형문화재 제48호천불전은 과거, 현재, 미래에어느곳에나 항상 부처님이 계신다는 의미에서 천불을 모시고 있는 전각이다.즉, 언제 어느곳에서나 누구라도 성불할 수 있다는 대승불교 사상을 나타내고 있는 전각이라고 할 수 있다.법당 중앙에는 목..
대흥사 응진전앞 삼층석탑(大興寺 應眞殿前 三層石塔) - 보물 제320호 탑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것으로 불교의 상징적인 신앙대상이다. 이 석탑은 높이 4.3m로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형태를 따라 만들어졌다. 이 탑은 현재 대둔사내에 있는 응진전에서 조금 비켜진 곳에 자리한다..
황악산(黃岳山)의 명당자리 명적암(明寂庵), 명적보궁(明寂寶宮) 황악산에서 가장 명당이라는 곳에 자리한 명적암(明寂庵), 명적보궁(明寂寶宮) 직지사를 창건한 능여대사((能如大師)께서 황악산 계곡의 원천을 찾은 곳이 능여계곡(能如溪谷). 이곳에는 밝고도 조용한 암자 명적암(明寂庵)..
봉은사 미륵대불(奉恩寺 彌勒大佛) 1996년 1월 7일에 봉안된 미륵대불은 봉은사의 새로운 성보로써 높이 23m로 국내 최대의 크기의 부처님이다. 미륵대불(彌勒大佛)은 1986년 영암(靈岩) 큰스님께서 '봉은사가 불자들의 종교적 정신적 의지처가 되기 위해 미륵대불을 조성하는 것이 좋겠다'고..
광교마을 비석골(碑石谷)과 불당골(佛堂谷)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의 비석거리는 광교수련원 건너편에 있는 마을이름이며 그 옆의 골짜기는 비석골(碑石谷)이다. 이 곳에는 한산 이씨의 묘가 있는데 이 묘에 비석이 있음으로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해 오는 말에 의하면 여주 이씨 가..
부처님의 진신치아사리를 모시고 있는 적멸보궁(寂滅寶宮), 금강산 건봉사(金剛山 乾鳳寺) 520년(신라 법흥왕 7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원각사라 하였으며, 758년에 발진화상이 중건하고 정신, 양순스님등과 염불만일회를 베풀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염불만일회의 효시가 된다. 여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