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 국보 제44호 - 보림사 대적광전(寶林寺 大寂光殿) 앞에 위치한 삼층석탑과 석등 북 삼층석탑(北 三層石塔) 석등(石燈) 남 삼층석탑(南 三層石塔)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
경주(慶州) 감은사지(感恩寺址)와 삼층석탑(三層石塔) 감은사터(사적 제 31호), 감은사터 삼층석탑(국보 제112호) 감은사(感恩寺)는 문무왕(文武王)이 삼국을 통일한 뒤, 왜구의 침략을 막고자 이 곳에 절을 세우기 시작하여 신문왕(神文王) 2년(682년)에 완성한 절이다.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
내장사 진신사리탑(內藏寺 眞身舍利塔)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3층 석탑으로 1997년 주지 범여스님이 조성하였다. 1932년 영국의 고고학 발굴조사단에 의해 발굴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인도의 고승 지나라타나 스님의 주선으로 내장사에 봉안하게 되었다. 사리(舍利)란 범어(..
당당한 기풍의 "부석사 삼층석탑(浮石寺 三層石塔)" 부석사에서 약 200m 떨어져 있는 옛 절터에 남아 있던 두 탑으로, 1966년 이곳 부석사로 옮겨 세웠다. 탑을 옮길 때 세워 놓은 비석에 의하면 서쪽의 탑은 익산왕궁리오층석탑(국보 제289호)에서 나누어 온 부처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동·..
등명낙가사 영산전 (燈明洛伽寺 靈山殿) 대한불교 조계종 등명낙가사의 금당인 영산전(靈山殿)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이 곳에 오백나한을 모신 영산전을 건립하게 된 것은 신라시대 이래 강원도 땅에 전승되어 오던 설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문수 보살과 ..
괘방산 등명낙가사 (掛榜山 燈明洛伽寺) 괘방산 등명낙가사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자장(慈藏)이 창건하였다. 당시 강릉 지역은 북쪽의 고구려와 동쪽의 왜구가 자주 침범하던 곳이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