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인공 숲, ‘함양 상림(咸陽 上林)’ 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인공 숲인 ‘함양 상림(咸陽 上林)’은 경남 함양읍의 서쪽에 있는 위천(渭川)강가에 있는 숲으로서, 통일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재위 887∼897) 때 당시 함양태수인 고운 최치원(孤..
최치원 선생을 추모하는 '사운정(思雲亭)' 고종 황제 46년(1906년)에 경상남도 유림(儒林)과 정삼품 박정규, 김득창이 문창후 최치원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집 정자로 처음에는 모현정(慕賢亭)이라 했으나 후에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선생을 추모한다는 뜻..
함양읍성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함양 함화루(咸陽 咸化樓)' 원래 이 누각은 조선시대 함양읍성(咸陽邑城)의 남문(南門)이었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에 도시계획이라는 명목으로 총독부(總督府)에서 강제로 철거하려고 하자, 1932년 함양고적보존회의 대표 노덕영(盧悳泳) 선생이 사재..
문창후 최선생 신도비(文昌候 崔先生 神道碑) 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897년, 재위:887년~897년) 때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 ?) 선생이 천령군태수(天嶺郡太守, 지금의 경남 함양군)로 부임하여 읍민을 다스릴 때 읍성을 지나 흐르던 뇌계(위천수)가 홍수로 인한 농토와 가옥이 유실..
연꽃(Nelumbo nucifera) 연꽃과(蓮─科 Nelumbo 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수초. 학명은 Nelumbo nucifera Gaertn. 뿌리는 둥근 막대형으로 옆을 향해 길게 뻗으며 마디가 많다. 연녹색을 띠는 둥근 형태의 잎은 지름이 40㎝ 정도이고 뿌리줄기에서 나와 물 위를 향해 1m 정도 높이 솟는데 물에 젖지 않는다. 잎..
상림공원(上林公園)의 연꽃(蓮花)단지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에 위치한 ‘천년의 숲’ 상림(上林)에 조성된 연밭은 ‘연밭머리“의 옛 명성을 되찾고자 전체면적 73,615㎡으로 조성된 곳으로 이곳에는 백련, 홍련, 수련을 비롯하여 관상연꽃과 다양한 수생식물 등을 볼 수있다.
금호미손(金錤手) 조형물 통일신라 진성여왕(재위 887 ~ 897)시대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857~ ?) 선생이 옛 함양 천령군의 태수로 부임하시면서 치산치수(治山治水)의 혜안으로 뚝을 쌓아 강물을 지금의 위치로 돌리시고, 손수 지리산과 백운산에서 활엽수를 캐어다가 수백종류의 나무를 ..
상서로운 사랑나무, 연리목(連理木)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49-1에 위치한 상림공원 내 연리목(連理木). 100년 이상된 느티나무와 개서어나무가 한 몸이 되어있다. 연리목(連理木)은 두 나무가 가까이서 자라다가 굵어져서 서로 맞닿아 세월이 흐르면서 서로가 하나가 되고 껍질이 벗겨..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