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사(海歌詞)의 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의 가요로 해가(海歌), 또는 해가사(海歌詞)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권2 수로부인(水路夫人)에 다음과 같은 유래가 실려 전한다.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江陵太守)로 부임하는 도중, 바닷가의 한 정자에서 점심을 먹을 때 돌연..
내연산 보경사(內延山 寶鏡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이다. 진평왕(眞平王) 25년(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지명은 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있을 때 어떤 도인으로부..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동산리)의 상원사 동종(上院寺銅鍾)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으로, 한국 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리종으로 통일신라 시대인 725년(성덕왕 24년)에 주조되었으며, 높이는 1.67m이고 입지름은 약 0.91m이다. ..
에밀레종이라 불리는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신라(新羅) 제35대 경덕왕(景德王)은 부왕(父王)인 성덕왕(聖德王)의 위업(偉業)을 추앙(推仰)하기 위하여 구리 12만근을 들여 대종(大鐘)을 주조(鑄造)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를 이어 아드님인 혜공왕(惠恭王)이 부왕의 뜻을 받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