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에밀레종이라 불리는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09. 4. 3. 07:26

                      에밀레종이라 불리는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신라(新羅) 제35대 경덕왕(景德王)은 부왕(父王)인 성덕왕(聖德王)의 위업(偉業)을 추앙(推仰)하기

              위하여 구리 12만근을 들여 대종(大鐘)을 주조(鑄造)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를 이어 아드님인 혜공왕(惠恭王)이 부왕의 뜻을 받들어 혜공왕 7년(771년)에 이 종을 완성하고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이라 하였다.

                     이 종은 처음 봉덕사(奉德寺)에 받들어 달았으므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종을 만들 때 아기를 시주(施主)하여

                     넣었다는 애뜻한 전설이 있어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려 왔다. 봉덕사가 폐사(廢寺)된지 영묘사(靈妙寺)로 옮겼다가

                     다시 봉황대(鳳凰臺) 옆에 종각을 지어 보존하고 있었다. 1915년 종각과 함께 동부동 구 박물관으로 옮겼으며,

                     박물관이 이곳으로 신축 이전하게 되어 1975년 5월 26일에 이 종각으로 옮겨 달았다.

                     종의 입둘레는 팔능형(八蔆形)이고 종 위에는 고리로 삼은 용과 음관(音管)이 있다.

                     특히 음관은 우리나라 종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로서 맑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종 몸체 상하에는 전대와 구대(口帶)가 있고 전대 밑 네곳에 유곽(乳廓)이 있고 유곽안에 9개의 유두(乳頭)가 있다.

                     몸체의 좌우에는 이 신종의 내력을 적은 양주 명문이 있으며, 앞 뒤에는 종 치는 자리인 두 개의 당좌(撞座)가 있고,

                     유곽 밑 네곳에는 구름을 타고 연화좌(蓮花座)에 앉아 향토를 받든 공양천인상(供養天人像)이 천의(天衣) 자락을

                     휘날리고 있다. 산과 같이 크고 우람하나 조화와 균형이 알맞고, 종소리 또한 맑고 우렁차며 그 긴 여운은 은은하게

                     영원으로 이어진다. 높이 3.78m, 입지름은 2.24m, 두께 21.4~7.4cm, 무게 18.9톤이다.


     

                   1962년 국보 제29호로 지정된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은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 최대의 종으로, 에밀레종 또는 봉덕사(奉德寺)에 달았기 때문에 봉덕사종이라고도 한다. 

             몸체에는 당초문을 두른 견대(肩帶)가 있고 그 아래에 4개의 유곽(乳廓)안에 각각 9개씩 모두36개의

             연꽃을 넣었으며, 그와 대칭으로 보상화무늬(식물 모양의 장식무늬)와 연꽃으로 된 당좌(幢座)가

             있다.   비천상(飛天像)은 양각된 종명을 사이에 두고 2구씩 상대한 4구가 연화좌(蓮花座) 위에

             무릎을 꿇고 공양하는 공양상(供養像)이다. 그 주위로 보상화(寶相華)가 구름처럼 피어오르고 있다.

             비천상 사이의 2개처에 이 종의 유래와 종을 만들 때 참가한 사람 및 글쓴이의 이름이 적힌 종명이

             있어 신라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즉, 모두 1,037자의 글이 대칭으로 새겨져 있어 이 종의 이름이 '성덕대왕신종'이라는 것과

             이 종소리를 들으면 백성들이 괴로움 속에서 벗어나고 복을 받게 되며 진리를 깨달아 그 공덕으로

             아버지인 성덕대왕이 극락에 편히 계시게 된다는 것과 이 종을 만든 주종대박사(鑄鍾大博士)는

             대나마(大奈麻) 벼슬의 박○○이고,이 글은 김필해(金弼奚)가 지은 사실 등을 알려주고 있다.

     

     

                                           (성덕대왕신종에 얽힌 이야기)

            몇번을 만들어도 금이 가고 깨진 소리만 날뿐 이었다. 결국 경덕왕도 신종을 만들지 못하고 죽었고

            다시 만들기 위해 스님들을 전국 방방곡곡에 보내종을 만드는 데 필요한 구리를 모아 오도록 했다.

            그런데 그렇게 만들었는데도 다시 깨진 소리가 나며 금이 가자 점치는 일관이 속세의 때가 묻지 않은

            어린아이를 쇳물에 넣어야 종이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어떤 한 중(僧)이 자신에게 아이를 시주하겠다고 장난말을 한 여인의 아이를 강제로 끌어다가

            끓는 쇳물속에 집어 넣었다. 그리고 쇳물을 틀에 부어 종을 만들었더니 이번에는 금가지도 않고

            소리도 맑고 부드러운 종이 완성되었다. 그런데 신비하게도 그 소리에는 에밀레~~에밀레~~하는

            애처로운 소리가 섞여 울려서 그 뒤로부터는 에밀레 종이라 부르게 되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