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南漢山城) 무망루(無忘樓) 조선 영조 27년(1751년) 광주유수(廣州留守) 이기진(李箕鎭)이 증축한 수어장대(守禦將臺) 2층의 내편(內便) 문루로서 그 편액(扁額)이 2층 누각에 있어 1989년 전각을 건립하고 이 안에 현판(懸板)을 새로 설치하여 일반인이 볼 수 있게 하였다. 무망루는 병..
이승만대통령각하행차 기념식수(전나무) 남한산성(南漢山城) 수어장대(守禦將臺) 무망루(無忘樓) 옆에 있는 전나무. “리대통령각하 행차 기념식수”라고 적힌 표지석이 있다. 뒷면에는 “단기 四二八六년 九월 六일”이라고 적혀 있다. 즉, 1953년 9월 6일에 이승만(1875~1965) 대통령이 이곳..
탁지부측량소(度支部測量小) 삼각점(三角點) 광주시 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7호 대한제국 말기(1908~1910년초) 탁지부(度支部)에서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건국 이래 최초로 경기도와 경상북도의 일부 지역에 지적세부측량(地籍細部測量)의 기준이 되는 삼각점(三角點)을 설치하..
화려하고 웅장한 "남한산성 수어장대(南漢山城 守禦將臺)" 수어장대(守禦將臺)는 남한산성의 서쪽 주봉인 청량산 정상부에 위치히고 있다. 이 건물은 남한산성(南漢山城)의 지휘 및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에서 지어진 누각이다. 성내에 현존하는 건물중 가장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을 자..
남한산성 청량당(南漢山城 淸凉堂) 청량당은 남한산성내 일장산 정상에 있는 서장대(수어장대)의 서편에 위치한 당우(堂宇)로서 이회(李晦)장군을 모시는 사당이다. 인조 2~4년 사이에 산성의 동남편 축조공역의 책임자로 있던 이회가 간사한 무리들의 참언때문에 사형에 처해졌는데 그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