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
천평일구(天平日晷)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7. 19:11
천평일구(天平日晷) 천평일구는 세종 19년(1437)에 만든 휴대용 해시계이다. 용 기둥에서 남쪽 못까지 연결된 실이 하늘의 적도면(赤道面)과 나란하게 놓여 있는 시반면(時盤面, 시각과 절기가 그려진 받침대) 중앙을 수직으로 통과하며, 햇빛에 의해 시반면 위에 나타난 그림자로 시각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문헌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를 7배로 확대하여 2003년 5월에 복원하였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경기도 유형문화재, 명성황후 생가(明成皇后 生家)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3. 16. 21:12
경기도 유형문화재, 명성황후 생가(明成皇后 生家) 이 집은 조선 고종(高宗, 1852~1919, 재위 1863~1907)의 비 명성황후가 태어나서 여덟 살 때까지 살던 집이다. 명성황후는 민치록의 딸로 철종 2년(1851)에 태어나 열여섯 살에 왕비가 되었다. 그 뒤 고종의 정치적 동반자로 개화정책을 주도해 나가다가 고종 32년(1895)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의해 살해되었다. 능은 청량리에 있었다가 1919년 고종황제가 세상을 떠나자 경기도 남양주의 홍릉에 합장되었다. 명성황후 생가는 숙종 13년(1687)에 처음 지어진 집으로, 그 당시 건물로는 안채만 남아 있다. 1996년에 안채를 수리하고 행랑채와 사랑채, 별당채 등을 지어 원래 모습을 되찾았다.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중기 살림집의 특징을 잘 보..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6. 20:11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태조 4년(1395)에 북극을 중심으로 하늘의 좌표에 따라 별 1,467개의 위치를 커다란 원 안에 표시하여 만든 천문도(天文圖, 별과 별자리 그림)이다. 윗부분에는 해와 달의 운행기록과 별자리 그림, 아랫부분에는 우주관, 제작 배경, 과정, 만든 사람의 이름과 만든 때가 적혀 있다. 이것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을 본떠 1999년 5월에 만들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감고당(感古堂) - 조선 왕조의 두 왕비가 기거했던 건물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3. 15. 21:05
행랑채(行廊) 행랑채는 대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어 신분이 가장 낮은 하인들이 기거하는 공간이나 곡식을 저장하는 장소로 활용했다. 조선시대 상류 주택은 신분과 남녀별. 연령별로 공간을 분리했고 대가족이 함께 어우러지는 가족생활을 고려해 공간을 배치했다. 사랑채(舍廊) 사랑채는 남자 주인과 손님이 기거하는 공간이니다. 행랑채와 중문채 사이에 자리하고 대청, 사랑방, 누마루로 구성됐다. 사랑채는 손님들에게 숙식을 대접하거나 이웃이나 친지들이 모여서 친목을 도모하고 자녀들에게 학문을 교육하는 장소였다. 또한, 사대부 남자들이 사랑채에 모여 학문에 대해 열띤 토론을 하고 시를 짓고, 거문고 등 악기를 연주하며 수준 높은 문화생활을 했던 장소다. 이렇듯 유학을 장려하고 문필 문학을 존중하고 경전을 연구하는 풍..
-
사적, 영릉(英陵) -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3. 14. 21:08
세종대왕릉 - 영릉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조선왕릉 세계유산(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릉(영릉)은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은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능(40기)으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신성한 공간이며 지금까지도 이곳에서 제례가 이어져 오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등재일 : 2009년 6월 30일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 세계유산위원회는 조선왕릉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함. 이 목록에 등재함은 모든 인류의 이익을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
-
정남일구(定南日晷)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3. 19:12
정남일구(定南日晷) 정남일구는 세종 19년(1437)에 만들어졌으며, 시간과 절기(節氣, 1년을 24로 나눈 시기)를 동시에 알려주는 해시계이다. 지남침(指南針, 羅針盤, 자침으로 항상 남북을 가리키도록 만든 기구)을 쓰지 않고도 남북의 방향을 정확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남쪽을 가리키는 해시계라는 뜻으로 정남일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것은 문헌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를 3배로 확대하여 2002년 5월에 만들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현주일구(懸珠日晷)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2. 20:12
현주일구(懸珠日晷) 현주일구는 세종 19년(1437)에 만든 휴대용 해시계이다. 남북을 잇는 가는 줄을 지구의 자전축(自轉軸) 방향과 같게 하도록 추(錘)를 달아, 팽팽하게 당긴 후, 줄의 그림자를 둥근 시반(時盤, 시각선과 절기선의 그림)에 나타나게 하여 그림자가 가리키는 눈금을 보고 시각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야외에 전시하려고 문헌에 기록된 크기를 7배로 확대하여 2001년 5월에 복원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명성황후 추모비(明成皇后 追慕碑)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22. 3. 12. 19:13
명성황후 추모비(明成皇后 追慕碑) 이 추모비는 명성황후의 애국에 대한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두 개의 직사각형은 과거와 현대를 상징하는 기둥이며, 역사의 중심에 서있는 명성황후의 모습을 비문으로 표현하였고, 조각 상층부에는 빛의 표현으로 우리 민족사에 길이 빛날 명성황후의 상징으로 표현하였다. 경기도 여주시 명성로 71 (능현동) 명성황후 생가 오오 황후시여 아득히 장하신지고 국가 비운의 막막한 시대에 지존의 배필께서 지혜와 용맹으로 구국의 선봉이 되셨음이여 여기에 감히 황국의 곤전을 해하는 흉진이 어찌 번득였을꼬 황후시여 이 나라 유구한 역사에서 가장 심각한 통분이며 치욕이 바로 이 일이나이다 하오나 다시금 세계 안에 약진하는 조국되었으며 황후의 단심을 이 겨례의 심장으로 품으오니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