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줌 재 되어도 우리 땅 독도 지킬 터 사운 이종학공 송덕비(史芸 李鍾學公 頌德碑) 초대 독도박물관장을 역임한 사운 이종학 공(史芸 李鍾學 公)은 세종대왕 친형 양녕대군의 21세손으로서 명문가의 사회적 지위와 부를 버리고 평생을 민족정기 확립과 역사자료 수집. 연구에 헌신해 오..
울릉도 도동항(鬱陵島 道洞港)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 있는 항구로 울릉도의 문호항이며, 동해의 유일한 도서항이다. 항내수면적 2만㎡, 안벽 80m, 물양장 133m, 방파제 184.6m이다. 연간 하역능력은 11만 3,000t이며 최대 접안능력은 1,000t급 1척이다. 1973~77년에 안벽이 완공되어 쾌속..
성인봉 천태종 해도사(聖人峰 天台宗 海道寺)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도동약수공원 내에 위치한 대한불교천태종 해도사. 독도가 바라다 보이는 울릉도에 작고 소박한 사찰이지만 관음전 옆에는 높이 11m의 해수관음상이 인자한 미소로 울릉도 동해바다를 바라보며 울릉도에 풍수해 ..
울릉 도동리 일본식 가옥(등록문화재 제235호) 이 일본식 건물은 1910년대 일본의 이주민이자 산림벌목업자였던 사카모토 나이지로(坂本來次郞)가 지은 2층 목조주택이다. 가옥에 사용된 목재는 개척 당시 희귀목이었던 솔송나무, 규목, 삼나무를 사용해 건축했고, 입면과 평면이 잘 남아있..
일본 스스로 인정한, 일본 옛지도에 그려진 우리땅 독도(獨島) 역사는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 1905년 2월 22일. 독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한다는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지사명의 고시문(告示文)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고시는 보통 신문이나 관보에 발표하는 것이 원칙이나 당시 일본 신문이..
울릉도와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도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도, 동쪽으로 심흥택해산 울릉도 주변의 해저도 독도의 해저지형도 울릉도와 독도주변의 해저지형도 울릉분지에 울릉도를 비롯하여 김인우해산, 이규원해산, 안용복해산 등. 또한, 독도 주변에는 독도를 비롯하여 심흥택해산, 이..
일본인이 그린 지도에도 독도(獨島)가 분명히 한국땅인데... 1785년에 일본 실학자 하야시 시헤야(林子平)가 그린 『삼국접양지도』(三國接壤之圖)... 이 지도는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색갈인 황색으로 칠했고 그 옆에 "조선의 것(朝鮮ノ持二)"이라고 글자를 써넣어 독도(獨島)와 울릉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