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리 이교성 위령비(彌勒里 李敎性 慰靈碑) 충주 미륵대원지 주차장 안쪽에 자연 암반 앞에 위치한 위령비. 병자년(丙子年) 수해 당시 미륵리 구장이었던 이교성이 주민들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노력하던 중 급류에 휩쓸려 사망하자 그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 미륵리 주민들이 세웠다..
제주 4.3유적지 입구 애기 돌무덤 앞에서 (지은이 양영길, 글쓴이 황요범) 한라 영산이 푸르게 푸르게 지켜보는 조천읍 북촌마을 4.3 사태의 군인 한 두 명 다쳤다고 마을사람 모두 불러 모아 무차별 난사했던 총부리 서슬이 아직도 남아 있는 풀 한 포기 자라지 못할 너븐숭이 돌무덤 앞에 ..
제주 4.3 중문면희생자위령비(濟州 四.三 中文面犧牲者慰靈碑) 제주 4.3 중문면희생자위령비(濟州 四.三 中文面犧牲者慰靈碑)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 천제연 공원에는 제주4.3 중문면 희생자 위령비가 있다. 2008년도에 4.3희생자 중문유족회에서 세운 위령비로 제주4.3사건으로 희생..
(대참사의 현장) 49명의 고귀한 목숨을 앗아간 조포(潮浦)나루터 조포나루(潮浦)는 삼국시대부터 서울 마포나루와 광나루, 여주 이포나루와 함께 한강 4대 나루로 불리던 나루로 충주에서 서울(한양)까지 배를 타고 오가며 풍물을 나르던 중간 기착지였다. 그리고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
국군과 중공군의 진혼을 달래는 "백마고지 위령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산명리 215번지내 백마고지 전투전적비내에 조성된 백마고지 위령비는 백마고지 전투에서 희생된 아군과 중공군 등 17,535명(아군 3,146명 중공군 14,389명)의 영혼을 진혼하기 위하여 건립한 것인데 당초 1985년 6월 6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