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릉(思陵)에서 가져온 소나무...정령송(精靈松)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장릉(莊陵)앞에는 남양주문화원에서 1999년 4월 9일 단종의 부인인 정순왕후 송씨의 능(思陵)에서 가져와서 심은 정령송(精靈松)이 있다. 이 정령송(精靈松)은 단종과 정순왕후 송씨의 애절하고 슬픈사연으로 인해 두 ..
장릉(단종)의 제사를 지내는 우물(祭井)....영천(靈泉) 영천(靈泉)이란? 장릉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우물로써 일설에 의하면 평소에는 샘의 솟는 양이 일정하나 한식(寒食,장릉 제사 때)가 되면 많은 물이 흘러나온다고 한다. 이 영천은 정조 15년(1791년)에 군수 박기정(박기정)이 조정에 보고하여 장릉 ..
단종의 충신 엄흥도 정여각 (端宗 忠臣 嚴興道 旌閭閣) - 영월 장릉(莊陵) 영월의 엄흥도의 비각은 엄흥도(嚴興道)의 충절(忠節)을 후세에 알리기 위해 영조 2년(1726년)에 세운 것이다. 충신 엄흥도가 영월호장(寧越戶長)으로 있을 때 단종(端宗)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 유배되어 관풍헌..
장릉 수복실 (莊陵 守僕室) 노산묘(魯山墓)는 1699년(숙종 24년) 장릉(莊陵)으로 추봉하고 1733년(영조 9년)에 세운것이다. 수복실(守僕室)은 능과 경내를 관리하던 능지기가 기거하던 곳이다.
비운의 어린왕이 잠든곳...영월 장릉 (사적 제196호)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21의 장릉(莊陵)은 조선 제6대왕인 단종(端宗)의 능이다. 단종은 세종23년(1441) 7월 23일, 동궁 자선당에서 문종과 현덕황후 권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홍위(弘暐)이며 세종30년(1448) 8세로 왕세손에 ..
장릉 배식단 (莊陵 配食壇) 영월 장릉에는 배식단(配食壇)과 배식단사(配食壇祠)가 있다. 배식단사는 정조 15년에 건립된 것으로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종친,환관,궁녀 등 34인을 합해 264인의 위패를 모셔놓은 곳이다. 배식단사 앞의 배식단(配食壇)은 매년 한식 때 이들을 위해 제..
배견정 (拜鵑亭)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장릉에 있는 배견정은 장릉(莊陵)에서 능선을 타고 남쪽으로 남하하던 거북이가 머리를 번쩍 들고 맑은 하늘을 바라 보는 것같은 형상을 한 언덕위에 네모진 아담한 정자를 배견정(拜鵑亭)이라 한다. 배견정은 낙화암에서 순절한 시녀들의 ..
박충원 정여각 (朴忠元 旌閭閣) 이 비각은 박충원의 충신 됨을 후세에 알리기 위하여 1972년에 세운 것이다. 충신(忠臣) 박충원은 중종26년(1531년) 문과(文科)에 급제하였고 문경공(文景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영월군수로 부임하여 있을 때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있던 단종이 꿈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