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족산 전등사(鼎足山 傳燈寺) 381년(소수림왕 11)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하여 진종사(眞宗寺)라고 했다고 하나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그 뒤 1266년(원종 7) 중창하였고, 충렬왕의 비인 정화궁주(貞和宮主)가 1282년(충렬왕 8) 승려 인기(印奇)에게 부탁해서 송나라의 대..
전등사 삼성각(傳燈寺 三聖閣) 삼성각은 산신, 독성(나반존자), 칠성 등 삼성(三聖)을 모신 건물이다. 본래 삼성은 중국의 도가 사상과 관련이 있는 성인들이지만 이 땅에 불교가 전래하면서 불교 사상과 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山神閣), 독성각(..
전등사 명부전(傳燈寺 冥府殿) 전등사 명부전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밝혀지지 않는다.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상을 비롯해, 시왕·귀왕 등 모두 29존상이 모셔져 있다. 대개 명부전은 지장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죽은 이를 재판하는 시왕이 있는 곳은 명부전, 지장보살을 모셨을 경우에는 ..
전등사 대웅보전(傳燈寺 大雄寶殿) 보물 제178호로 지정된 대웅보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으로 손꼽힌다. 특히, 건물 내부 불단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하고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보마..
전등사 약사전(傳燈寺 藥師殿) 전등사 약사전(傳燈寺 藥師殿)은 정면 3칸(5.7m), 측면 2칸(4.1m), 높이 6.0m 규모의 다포계 단층 불전으로 기단은 막돌을 사용하여 허튼층으로 쌓아 올리고 갑석(덮개 돌)을 올렸다. 초석은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위에 약간의 배흘림이 있는 원형기둥을 세웠..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임진왜란(壬辰倭亂,1592년) 전에 실록(實錄)을 보관하였던 사고(史庫)는 내사고(內史庫)인 춘추관과 충주·성주·전주 등 3개의 외사고(外史庫)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全州史庫)만이 화(禍)를 면하고 모두 소실(燒失)되었다. 그후 임란(壬亂)의 병화(兵..
강화 전등사 대조루(江華 傳燈寺 對潮樓) 전등사의 남동쪽으로는 멀찌감치 강화해협이 내려다보인다. 강화해협은 일명 ‘염하(鹽河)’라고도 부르는데 이 염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전등사 대조루이다. 전등사의 남문이나 동문으로 올라와 두 길이 합치는 지점에 이르면 2층 건물이..
전등사 윤장대(傳燈寺 輪藏臺) 윤장대(輪藏臺)란 불교경전(佛敎經典)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돌릴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윤장대를 한번 돌리면 경전을 읽은 것과 같은 공덕(功德)이 있다고 한다. 전등사 윤장대는 보물 제684호를 똑같이 재현한 것이다. 윤장대를 세운 이유는 부처님 법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