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선(全羅線) 전주역(全州驛) 전주(全州)는 백제시대에는 완산(完山)이라 하였는데, 전주라는 지명의 사용은 통일신라 경덕왕 16년(757년)부터이다. 전주의 ‘전(全)’과 완산의 ‘완(完)’은 모두 ‘온전하다’는 뜻을 가진 우리말 ‘온’이란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완산과 전주..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 전주 풍남문(全州 豊南門) 읍성(邑城)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城)을 말한다. 호남제일성인 전주부성은 언제 처음 쌓여졌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고려 공양왕 원년(1398년) 전라관찰사를 지낸 최유경이 개축했다는 기록이 있고 보면, 성의..
전주 한옥마을의 중심도로인 태조로(太祖路) 조선조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를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도로명으로 태조로는 전동성당~ 오목대입구까지 약 530m 구간의 전통문화거리이다. 3월초부터 11월까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차량 운행을 전면 통제하여 ‘차 없는 거리’로 지정..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전시한 곳, "전주사고(全州史庫)" 전주사고(全州史庫)는 조선시대 4대 사고(史庫)의 하나로 1439년(세종 21) 사헌부(司憲府)의 건의로 지금의 전주시에 있던 경기전(慶基殿) 안에 설치되었다. 처음에 실록(實錄)들을 여러 차례 옮겨 보관하다가, 1445년 12월 서울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