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근대가 만난 덕수궁(德壽宮) 대한문(大韓門) 덕수궁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우진각지붕집이다. 원래 정전(正殿)인 덕수궁(德壽宮) 중화전(中和殿)의 정면에 있었던 것을 나중에 동쪽으로 옮긴 것이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명례궁(明禮宮)을 옛이름인 경운..
덕수궁 중화문(德壽宮 中和門) 및 중화전(中和殿) - 보물 제819호 덕수궁 중화전 품계석(德壽宮 中和殿 品階石) 품계석(品階石)은 좌우에 각각 12개씩 모두 24개가 놓여져 있으며 조선의 품계는 모두 18계로 나누어져 있다. 품계석은 좌우로 12개씩 나뉘는데, 좌(左)에는 문신(동반)이 우(右)에..
덕수궁 대한문(德壽宮 大漢門)과 금천교(禁川橋)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이 건립되기 전까지는 인화문(仁化門)을 사용했으나 1902년 궁궐을 크게 중건하면서 중화전과 중화문, 그리고 외삼문인 조원문(朝元門)을 세워 법전(法殿:임금이 백관의 경축일 하례를 받는 정전)의 체제를 갖추었..
경운궁 양이재(慶運宮 養怡齋) - 등록문화재 267호이 전각은 경운궁을 고쳐 지을 때인 1905년(광무9)에 세운 것이다.경운궁 공사보고서인 "경운궁중건도감의궤"에는 중화전(中和殿)을 비롯한주요 건물 11채만 따로 도면을 그렸는데 양이재도 그 중 하나다.당시 양이재는 함희당(咸喜堂)이란 ..
덕수궁(德壽宮)의 중화전(中和殿) 및 중화문(中和門) 덕수궁(德壽宮)의 중화전(中和殿) 및 중화문(中和門) 덕수궁(德壽宮)의 중화전 및 중화문은 각각 덕수궁의 정전(正殿)과 정전으로 드나드는 정문이다. 덕수궁의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경운궁의 정전은 즉조당(卽祚堂)이었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