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광사 대웅보전(松廣寺 大雄寶殿) 송광사 대웅보전은 1951년 소실된 후 1988년 송광사 8차 중창불사 때 다시 지어졌다. 대웅보전에는 삼세(과거 현재 미래)제도를 염원하는 삼세불. 즉 과거불인 연등불ㆍ현재불인 석가모니불ㆍ미래불인 미륵불을 모셨으며 각 부처님의 좌우에 관세음보살 ..
송광사 지장전(松廣寺 地藏殿) 1988년 중창된 지장전은 중건 이전에는 명부전(冥府殿)이라 불리었다. 지장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불로 모신 전각으로 지장보살의 좌우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모시고 섰고, 그 좌우로 저승의 시왕(十王)이 모셔져 있고, 천도재와 49재, 영가천도 등 ..
금산사 명부전(金山寺 冥府殿) 명부전은 저승의 유명계를 사찰 속으로 옮겨 놓은 전각이다. 이 전각 안에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이라고도 하고, 유명계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시왕전이라고도 한다. 명부전은 앞면과 옆면 각 3칸씩 맞배지붕 건..
봉은사 지장전(奉恩寺 地藏殿) 지장보살님을 모시는 전각으로,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원력의 보살이며 미륵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기 전까지 석가모니 부처님의 원을 이어 고통과 어려움에 처해있는 중생들을 구해주고 특히 병든 이를 위하여 스스로 약초가 되겠다는 서원을 세워 원력의 ..
금강산 건봉사 명부전(金剛山 乾鳳寺 冥府殿) 건봉사 명부전은 맞배지붕에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를 하고 있다. 안에는 지장보살좌상을 봉안하였는데, 6.25 한국전쟁 때 산화한 군인을 비롯한 숱한 사람들의 영령을 모시고 있어 건봉사 명부전은 더욱 뜻이 있는 것 같다. 명부전(冥府殿)이..
마곡사 명부전(麻谷寺 冥府殿),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 이 건물은 지장보살과 염라대왕을 비롯한 시왕을 모신 곳으로 1939년에 건립되었다. 지장보살은 불교에서 구원의 상징으로 모든 인간을 교화..
나한도량(羅漢道場) "무봉산 만의사(舞鳳山 萬儀寺)"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중리에 위치한 무봉산 만의사(舞鳳山 萬儀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로 신라 때 창건되어 당시에는 만의사(萬義寺)라 하였다. 1284년(고려 충렬왕 10) 정길(貞吉)과 현묵(玄默)이 중창하였..
등명낙가사 영산전 (燈明洛伽寺 靈山殿) 대한불교 조계종 등명낙가사의 금당인 영산전(靈山殿)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이 곳에 오백나한을 모신 영산전을 건립하게 된 것은 신라시대 이래 강원도 땅에 전승되어 오던 설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문수 보살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