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양도성 창의문(彰義門) - 사적 제10호 서울 한양도성 창의문(彰義門) - 사적 제10호 서울성곽에는 동서남북에 4대문(四大門), 그 사이에 4소문(四小門)을 두었는데 창의문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의 북소문(北小門)으로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다‘는 뜻이 있다. 그러나 창의문은 ..
세검정 터(洗劍亭 址)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호 세검정은 홍제천 일대의 경치를 감상하기 위해 지은 정자다. 예로부터 경치가 좋기로 유명하여 많은 문학작품의 배경이 되었다. 정자를 처음 지은 것은 언제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1748년(영조24)에 고쳐 지으면서 세검정 현판을 달았다. 세..
홍주의사총(洪州義士塚) - 사적 제431호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후 전국적으로 일어났던 의병들의 항일구국운동 가운데 규모가 크고 가장 치열한 항쟁을 벌였던 홍주읍성 전투에서 희생된 유해를 모신 묘소이다. 1906년 3월 이조참판을 지낸 민종식을 중심으로 한 홍주의병은 홍주읍성..
서울 한양도성 (북악산구간) 창의문 - 창의문 안내소 - 돌고래쉼터 - 백악쉼터 - 백악마루 - 1.21사태 소나무 - 청운대 - 백악곡성 - 백악 촛대바위 - 숙정문 - 말바위 안내소 - 와룡공원 창의문(彰義門) 지정번호: 사적 제10호(서울 한양도성) 시대:1396년(태조 5) 창의문은 인왕산과 백악산이 만..
서울 한양도성 창의문(彰義門) 창의문(彰義門) 지정번호: 사적 제10호(서울 한양도성) 시대:1396년(태조 5) 창의문은 인왕산과 백악산이 만나는 곳에 있는 문이다. 사소문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에 지어진 문루가 그대로 남아 있다. 이 문루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41년(영조17)에 다시 세..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